선고일자: 2022.12.16

민사판례

내 돈 돌려줘! 상계, 아무렇게나 하는 거 아니에요.

돈을 빌려주고 받는 과정에서 분쟁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죠. 특히 여러 사람이 얽혀있는 경우에는 더욱 복잡해집니다. 오늘은 상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통해 채권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계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서로 돈을 주고받을 관계에 있는 당사자들이 "퉁 치자!"라고 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만 원을 빌려주고, B는 A에게 50만 원을 빌려준 상황이라면, A와 B는 50만 원에 대해 서로 "퉁" 칠 수 있고, A는 B에게 나머지 50만 원만 받으면 되는 것이죠. 이처럼 서로 간에 채권과 채무를 동시에 소멸시키는 것을 상계라고 합니다. (민법 제492조 제1항)

그런데, 제3자의 채권으로 상계할 수 있을까요?

이번 판례의 핵심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A가 B에게 돈을 받아야 하는데, C가 B에게 돈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해서 A가 C의 채권을 이용해 B와 상계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상계는 당사자 간의 채권 채무 관계를 간편하게 해결하기 위한 제도이기 때문에, 제3자의 채권을 끌어들일 수는 없다는 것이죠.

국세 체납과 관련된 채권 압류는 어떨까요?

국세를 내지 않으면 세무서에서 재산을 압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세무서가 압류한 채권을 이용해 상계할 수 있을까요? 이번 판례에서는 이것 역시 불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국세징수법에 따라 세무서가 채권을 압류하더라도, 그 채권의 소유권이 세무서로 넘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세무서는 단지 체납자를 대신해 돈을 받을 권리(추심권)만 갖게 되는 것이죠. (국세징수법 제52조) 따라서 세무서가 압류한 채권은 세무서 자신의 채권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상계할 수 없습니다.

판결의 의미:

이번 대법원 판결은 상계 제도의 기본 원칙을 재확인하고, 채권 압류의 효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복잡한 채권 채무 관계 속에서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관련 법리와 판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6다239420 판결
  • 대법원 1985. 4. 9. 선고 82다카449 판결
  • 대법원 1997. 3. 14. 선고 96다54300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과 빚을 퉁칠 수 있는 권리, 상계권! 그런데 함부로 쓰면 안 된다고?

서로에게 빚진 돈이 있을 때, 한쪽이 갚아야 할 돈에서 받을 돈을 빼는 '상계'는 원칙적으로 가능하지만, 상계를 하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서는 신의칙에 위반되거나 권리를 남용하는 것으로 인정되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상계권#신의칙#권리남용#제한

민사판례

돈 갚아야 하는데, 나도 받을 돈이 있어요! - 상계와 그 함정

빚을 서로 상계할 때에는 상계 시점을 기준으로 이자를 계산하고, 이자부터 먼저 갚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 전체 이자를 다 계산한 후 상계하면 계산이 틀려진다.

#빚 상계#이자 계산#상계 시점#상계적상일

상담사례

돈 빌려주고 빌리고, 퉁치면 되는 거 아닌가요? 🤔

서로 돈을 빌려준 경우, 갚을 날짜가 지나도 자동으로 퉁쳐지는 것이 아니라 "퉁치자!(상계)"라는 명확한 의사표시를 해야 법적으로 빚이 소멸된다.

##빌림#상계#의사표시

민사판례

돈 갚아야 하는데 서로 채권 있다고 주장하면 어떻게 될까? 상계와 부당이득, 그리고 소멸시효에 대해 알아보자

서로 간에 빚을 상계(相計)하기로 했는데, 한쪽 빚이 애초에 없었거나 무효였다면 상계는 효력이 없고, 무효인 빚을 가진 쪽이 부당이득을 얻은 것도 아닙니다. 또한 빚의 소멸시효는 법적으로 빚을 청구할 수 있는 시점부터 시작되며, 단순히 빚이 있는지 몰랐다는 사실만으로는 시효 진행이 멈추지 않습니다.

#상계#무효#부당이득#소멸시효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 그리고 상계: 복잡한 채권 관계 정리하기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이 매도인의 가압류 해결을 위해 대신 돈을 냈다면,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구상권)가 생기는데, 이 권리로 매매 잔금을 상계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가압류가 된 후에 생긴 채권이라도, 그 발생 원인이 가압류 전에 존재했고, 잔금 지급과 가압류 말소 의무가 서로 짝을 이루는 관계라면 상계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가압류#상계#구상권#매매잔금

상담사례

내 돈 떼먹고 퉁치자고? 고의로 빚 안 갚으면 상계 안 돼요!

고의적인 불법행위로 발생한 빚은 상계할 수 없지만, 단순히 고의로 빚을 갚지 않은 경우는 원칙적으로 상계 가능하나, 고의적인 행위가 불법행위와 채무불이행 모두에 해당하면 상계가 불가능하다.

##상계#고의#불법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