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05.16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못 받을까봐 가압류 걸었는데, 빌려준 사람이 돈을 다른 사람에게 넘겼다면?

돈을 빌려주고 못 받을까봐 걱정되는 상황, 누구나 겪을 수 있죠. 그래서 채권을 보전하기 위해 가압류와 같은 제도가 있는 건데요. 오늘은 채권양도와 채권가압류가 얽힌 복잡한 상황에서 대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렸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 회사에 C 회사에 대한 채권(돈 받을 권리)을 넘겨주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B 회사에 정식으로 통지하기 전에, A 회사는 C 회사가 D 회사에 받을 돈에 가압류를 걸었습니다. 그리고 그 돈을 받아갔죠. 이에 A 회사의 채권자 E 저축은행은 "A 회사가 받아간 돈은 우리 돈이다!"라며 소송을 걸었습니다. 소송 중에 B 회사는 뒤늦게 A 회사에게 채권을 넘겨받았다는 사실을 C 회사에 알리고 소송에 참여했습니다.

핵심 쟁점

  • 채권을 넘겨준 후에, 넘겨주기 전에 걸어둔 가압류가 유효한가?
  • 채권을 넘겨받은 사람이 넘겨받았다는 사실을 채무자에게 알리기 전에는 돈을 달라고 할 수 있는가?
  • 채권을 넘겨받았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린 사람이 소송에 참여할 수 있는가?
  • 채무자에게 가압류 사실을 알리지 않아도 시효 중단의 효력이 있는가?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1. 채권을 넘겨준 후에도 넘겨받은 사람에게 알리기 전까지는 원래 채권자가 채무자 재산에 가압류를 걸 수 있고, 그렇게 받은 돈도 유효합니다. (민법 제450조)
  2. 채권을 넘겨받았더라도 채무자에게 알리지 않았다면 채무자에게 돈을 달라고 할 수 없습니다. (민법 제450조)
  3. 채권을 넘겨받은 B 회사는 채권 양도 사실을 알린 후에 소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민법 제450조, 민사소송법 제81조)
  4. 채무자에게 가압류 사실을 알리지 않아도 채권의 시효가 중단됩니다. (민법 제176조)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450조 (채권양도의 대항요건) 채권양도는 양도인이 채무자에게 통지하거나 채무자가 양도를 승낙하지 아니하면 채무자 기타 제삼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 민법 제176조 (소멸시효의 중단사유) 재판상의 청구는 소를 제기한 때에, 가압류, 가처분은 명령이 난 때에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다.
  • 민사소송법 제81조 (소송목적의 승계참가) 소송목적이 법원의 판결에 의하지 아니하고 당사자의 소송행위나 법률의 규정에 따르는 사실행위에 의하여 변동된 때에는 소송절차를 수계하거나 또는 소송목적의 승계를 이유로 참가할 수 있다.
  • 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8두20109 판결
  • 대법원 1990. 11. 27. 선고 90다카27662 판결
  • 대법원 1992. 8. 18. 선고 90다9452, 9469 판결
  • 대법원 2012. 4. 26. 선고 2011다108231 판결

결론

이번 판례는 채권양도와 채권가압류가 복잡하게 얽힌 상황에서 채권자, 채무자, 그리고 채권양수인의 권리관계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히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사례입니다. 돈 거래를 할 때는 관련 법과 판례를 잘 살펴보고, 필요한 절차를 꼼꼼히 챙겨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못 받을까봐 가압류했는데, 채무자가 돈 받을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렸다면?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의 다른 사람에 대한 채권(예: 임대보증금 반환채권)에 가압류를 한 후, 채무자가 그 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한 경우, 그 양도는 무효가 된다.

#가압류#채권양도#무효#대항요건

민사판례

돈 빌려줬는데 돈 받을 곳이 여러 곳?! 채권 양도와 가압류가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누가 돈을 받을 수 있을까?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것(양도)과 채권을 압류하는 가압류가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누가 우선권을 가지는지, 그리고 채무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동시 도달 시에는 양도인과 가압류권자 모두 채무자에게 전액 청구 가능하며, 채무자는 누구에게 변제하든 면책됩니다. 다만 이중 지급 위험을 피하기 위해 변제공탁도 가능합니다.

#채권양도#가압류#동시도달#우선순위

민사판례

돈 빌려줬는데 돈 받을 곳이 여러 곳이라면? 채권 양도와 가압류가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것(양도)과 채권을 임시로 압류하는 것(가압류)이 동시에 이루어졌을 때, 나중에 압류한 채권자는 돈을 받을 수 없고, 양도받은 사람과 먼저 가압류한 사람만 돈을 나눠 받을 수 있습니다.

#채권양도#가압류#동시#배당

민사판례

돈 빌려줬는데 갚을 돈을 남에게 줘버렸다면? 채권압류와 채권양도의 우선순위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의 다른 사람에 대한 채권을 압류하려 할 때, 채무자가 이미 그 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고 확정일자 있는 통지 등 필요한 절차를 마쳤다면, 그 이후의 압류는 효력이 없습니다. 이미 양도된 채권은 압류할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채권양도#확정일자#압류#무효

상담사례

빌려준 돈 받아야 하는데, 가압류 걸렸네요?! 그래도 돈 받을 권리, 팔 수 있을까요?

빌려준 돈에 가압류가 걸렸어도 채권 양도는 가능하지만, 양수인은 가압류의 영향을 받아 돈을 못 받을 수도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채권 양도#가압류#채권 추심#위험 부담

민사판례

가압류, 채권 양도, 그리고 제소명령: 생각보다 복잡한 이야기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빌려간 사람(채무자)의 재산을 가압류한 후, 다른 사람에게 빌려준 돈에 대한 권리(채권)를 넘겼(양도)습니다. 채권을 넘겨받은 사람이 채무자에게 내용증명으로 이 사실을 알리려 했으나, 채무자가 받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권을 넘겨받은 사람이 소송을 제기했기에 가압류는 유효합니다.

#채권 양도#제소명령#가압류#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