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2.22

형사판례

돼지 도둑, 양도담보의 함정에 빠지다!

오늘은 돼지와 관련된 복잡한 법적 분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돈사에서 키우는 돼지를 둘러싼 양도담보와 절도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는 분쟁이라고 합니다.

사건의 개요

A는 돼지농장을 운영하면서 사료회사 B에게 돈을 빌리고, 농장의 돼지를 담보로 제공했습니다 (양도담보 설정). 그런데 A는 나중에 C에게도 같은 돼지를 담보로 제공하고 돈을 빌렸습니다(이중양도담보 설정). 결국 A가 빚을 갚지 못하자, C는 담보로 잡았던 돼지를 농장에서 가져갔습니다. 이에 B는 C를 절도죄로 고소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C의 행위를 절도죄로 판단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1. 돼지, 양도담보의 대상이 되다.

돈사에서 대량으로 사육되는 돼지는 숫자가 계속 변하지만, '집합물'로 보아 양도담보의 목적물이 될 수 있습니다. 돼지가 새끼를 낳거나 팔리더라도, 새로 담보 계약을 할 필요 없이 기존의 담보권이 유지됩니다. (민법 제189조, 제372조, 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다22858 판결)

2. 이중양도담보, 함정에 빠지다!

이미 B에게 담보로 제공된 돼지를 C에게 다시 담보로 제공하는 것은 '이중양도담보'입니다. 점유개정(물건을 옮기지 않고 점유자만 바꾸는 것) 방식으로 이중양도담보를 설정하는 경우, 나중에 담보를 설정한 C는 담보권을 가질 수 없습니다. (민법 제189조, 제249조, 제372조, 대법원 2005. 2. 18. 선고 2004다37430 판결). 즉, C는 돼지를 가져갈 권리가 없었던 것입니다.

3. 절도죄 성립!

C는 B의 담보권을 침해하고 돼지를 가져갔기 때문에, 타인의 재물을 훔친 것으로 간주되어 절도죄(형법 제329조)가 성립합니다. C는 A의 허락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 이미 A는 B에게 담보를 제공한 상태였기 때문에 돼지를 마음대로 처분할 권리가 없었습니다. 더구나 C는 이미 B의 담보권 설정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고의성도 인정되었습니다.

결론

이 사건은 돼지와 같은 동산을 담보로 제공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보여줍니다. 이중양도담보 설정은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며, 오히려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담보 설정 전에 꼼꼼히 확인하고,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돼지 저금통, 두 번 담보로 잡히면 어떻게 될까? 이중양도담보와 점유개정에 대한 이야기

이미 다른 사람에게 양도담보로 설정된 돼지를,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다시 양도담보로 설정할 수 있을까? (없다)

#양도담보#이중양도#점유개정#선의취득

민사판례

돼지 3,000마리, 누구 것일까? 유동집합물 양도담보와 그 함정

돼지를 담보로 돈을 빌린 경우, 새끼 돼지나 기존 돼지를 판 돈으로 산 돼지까지 담보 효력이 미치지만, 담보 설정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새로 사온 돼지까지는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는 판결.

#돼지#양도담보#유동집합물#담보효력

상담사례

돼지 100마리, 그리고 새로 들어온 돼지들… 담보는 누구 것일까?

돼지를 담보로 돈을 빌릴 경우, 채무자가 소유한 같은 종류의 돼지가 추가되면 담보에 포함되지만, 타인 소유의 돼지는 포함되지 않는다.

#돼지#담보#양도담보#소유권

형사판례

돈 빌려주고 물건 받았는데 도둑이라고요? 양도담보와 절도죄 이야기

돈을 빌려주면서 담보로 물건을 받았는데, 빌린 사람이 돈을 안 갚아서 그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팔고, 그 사람이 물건을 가져갔다면 절도죄가 아니다.

#양도담보#점유개정#절도죄#소유권

민사판례

돼지 새끼는 내꺼! 담보로 맡긴 돼지가 새끼를 낳았다면?

빚 담보로 돼지를 제공했을 때, 그 돼지가 낳은 새끼는 담보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빚 담보#돼지 새끼#천연과실#소유권

민사판례

돼지농장 전체가 담보였을까? 유동집합물 담보의 범위

계속해서 수량이나 종류가 변하는 동산(유동집합물)을 담보로 제공할 때는, 어떤 물건을 담보로 삼았는지 명확하게 정해야 합니다. 단순히 "창고에 있는 재고"처럼 모호하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종류, 위치, 수량 등을 통해 제3자가 봐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특정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돼지농장의 돼지를 담보로 제공한 경우, 계약서에 일부 지번만 기재되었더라도 실제 계약 당시 의도와 농장 운영 방식 등을 고려하여 농장 전체의 돼지를 담보로 삼은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유동집합물#양도담보#목적물 특정#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