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12.24

형사판례

돼지가죽은 폐기물일까?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 의무 위반에 대한 판결 이야기

오늘은 돼지 도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돼지가죽이 폐기물인지, 그리고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 의무 위반에 대한 재미있는 판결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생각보다 복잡한 법적 문제가 숨어있더라고요!

1. 돼지가죽, 폐기물 아니다?

이 사건의 피고인은 축산업협동조합과 계약을 맺고 돼지가죽을 정기적으로 공급받아 가공한 후 가죽공장에 납품했습니다. 검찰은 이 돼지가죽을 폐기물로 보고, 피고인이 무허가 폐기물 처리업을 했다고 주장했죠.

그런데 법원은 돼지가죽이 폐기물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왜냐하면 피고인은 조합과 정식 계약을 맺고 돈을 주고 돼지가죽을 구매했고, 이를 가공하여 판매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버려지는 쓰레기가 아니라, 상업적 가치를 가진 재료로 이용되었다는 점이 중요했던 거죠.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호에서 정의하는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않게 된 폐기된 물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것입니다.

2.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 언제 해야 할까?

피고인은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를 하지 않았다는 혐의도 받았습니다. 구 폐기물관리법(1999. 2. 8. 법률 제5865호로 개정되기 전) 제24조 제2항, 제61조 제8호, 그리고 구 폐기물관리법시행규칙(1999. 8. 9. 환경부령 제82호로 개정되기 전) 제10조 제1항 제3호, 제2항에 따르면, 일정량 이상의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자는 사업 시작일 또는 폐기물 배출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법원은 이 신고 의무 위반은 계속되는 범죄가 아니라, 신고 기한을 넘긴 시점에 곧바로 범죄가 완성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신고 기한을 넘기면 바로 처벌 대상이 된다는 뜻입니다.

3. 이중 기소,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흥미로운 점은 피고인이 같은 신고 의무 위반으로 두 번 기소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런 경우, 나중에 기소된 사건을 담당하는 법원은 먼저 기소된 사건의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먼저 기소된 사건에서 유죄가 확정되었다면, 나중에 기소된 사건은 어떻게 될까요? 반대로 무죄가 확정되었다면요? 이 부분에 대한 판단은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3호와 관련이 있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나중 사건을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폐기물의 정의,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 의무, 그리고 이중 기소 시 처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법은 생각보다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고, 복잡한 사안들을 다루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돼지기름, 그냥 버리면 안 돼요! 사업장 폐기물과 그 처리에 관한 법적 해석

사업장에서 나오는 부산물이 비록 재활용되더라도 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여러 죄 중 일부만 무죄 판결이 나고 검사만 상고한 경우, 상고심에서는 무죄 부분만 다룬다는 내용입니다.

#사업장 폐기물#재활용#부분 상고#폐기물 배출 신고

형사판례

공사 현장에서 나온 흙, 폐기물 맞을까?

공사 현장에서 나온 토사를 재활용할 목적이었다 하더라도 폐기물에 해당하며, 관련 법에 따라 배출 신고를 해야 한다. 법을 몰랐다는 주장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토사#폐기물#배출신고#재활용

생활법률

🗑️ 우리 주변의 골칫거리, 폐기물! 제대로 알고 버리자!

폐기물은 더 이상 필요 없는 물건으로, 사업장폐기물, 지정폐기물, 의료폐기물, 생활폐기물로 분류되며,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관리되지만 방사성 물질 등 일부는 적용 제외 대상이다.

#폐기물#폐기물관리법#사업장폐기물#지정폐기물

일반행정판례

건설 현장에서 나온 흙, 그냥 줘도 불법일까? 폐기물 처리에 대한 오해와 진실

건설현장에서 나온 흙을 농지에 객토용으로 제공한 행위가 폐기물관리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행정 처분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재활용 목적이라도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폐기물 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건설현장 토사#재활용#폐기물관리법 위반#원상복구 명령

형사판례

축산폐수배출시설 신고 의무, 언제 생길까요?

이미 설치된 축산폐수배출시설이라도 법 개정으로 신고 대상이 된 경우, 바로 신고의무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법 개정 이전 설치 당시 법령을 기준으로 신고의무 여부를 판단한다.

#축산폐수배출시설#신고의무#설치 당시 법령#소급적용 배제

생활법률

사업장 쓰레기, 제대로 버리고 있나요? 꼼꼼하게 알려드리는 사업장폐기물 관리 A to Z!

사업장폐기물은 사업 활동 중 발생하는 모든 폐기물로, 관련 법규(폐기물관리법)에 따라 배출자는 분류, 처리, 기록, 신고 의무를 준수하고, 처리업체 위탁 또는 공동관리 등의 방법으로 적법하게 처리해야 한다.

#사업장폐기물#폐기물관리법#처리#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