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7.16

일반행정판례

땅 주인과 사업자 명의가 다를 때, 개발부담금은 누가 내야 할까요?

개발사업으로 돈을 벌면 그 이익의 일부를 국가에 내야 하는데, 이를 개발부담금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땅 주인과 사업자 명의가 다르면 누가 이 돈을 내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서울시가 소유한 땅에 서울시 도시개발공사가 영구임대주택을 지었습니다. 땅 주인은 서울시, 사업자 명의는 서울시 도시개발공사였죠. 마포구청은 도시개발공사에 개발부담금을 부과했고, 도시개발공사는 "우리는 서울시로부터 사업을 위탁받아 진행했을 뿐, 개발이익은 서울시에 귀속되므로 우리가 낼 의무는 없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옛날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1993.6.11. 법률 제45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을 근거로 판단했습니다. 핵심은 '개발이익이 실제로 누구에게 돌아가는가'입니다. 법원은 비록 서류상 사업시행자 명의는 도시개발공사지만, 실제 이익을 보는 주체는 땅 주인인 서울시라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개발부담금 납부 의무도 서울시에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법 조항

  • 구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1993.6.11. 법률 제45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국가는 사업시행자에게 귀속되는 개발이익을 개발부담금으로 징수한다.
  • 같은 법 제6조 제1항: 사업시행자는 개발부담금을 납부할 의무가 있다.

핵심 판결 내용

법원은 "개발부담금은 개발이익을 환수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로 이익을 얻는 사람이 내야 한다. 따라서 서류상 사업자 명의가 누구인지보다 실제로 누가 이익을 보는지가 중요하다"고 판시했습니다. 이 사건의 경우, 도시개발공사는 명의상 사업시행자일 뿐이고 실질적인 사업시행자는 토지 소유자인 서울시이므로, 서울시가 개발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론

땅 주인과 사업자 명의가 다르더라도, 개발부담금은 실제로 개발이익을 얻는 쪽이 부담해야 합니다. 이번 판례는 개발부담금 납부 의무자를 판단할 때 형식적인 명의가 아니라 실질적인 이익 귀속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개발부담금, 누가 내야 할까요? 허가 명의자와 실질적 시행자의 이야기

실제 개발사업 시행자가 아닌 허가 명의자에게 개발부담금을 부과했더라도, 허가 명의로 사업 진행된 외관상 정황이 있다면 부과 처분 자체는 무효가 아니라 취소 대상이 된다.

#개발부담금#허가 명의자#실제 시행자#무효

일반행정판례

땅 주인이 신탁한 땅 개발하면 누가 개발부담금 내야 할까?

땅 주인이 신탁회사에 땅을 맡겨 개발사업을 진행할 경우, 개발이익에 대한 부담금은 신탁회사가 내야 한다.

#신탁#개발부담금#수탁자#개발이익

일반행정판례

신탁된 땅 개발하면 누가 개발부담금 낼까요?

땅 주인이 개발을 위해 땅을 신탁회사에 맡기고, 신탁회사가 개발사업을 진행한 경우, 개발이익으로 발생한 부담금은 신탁회사가 내야 한다.

#신탁개발#개발부담금#신탁회사#납부의무

일반행정판례

개발부담금 납부의무자, 누구일까요?

여러 사람이 비슷한 시기에 인접한 토지에서 개발사업을 하더라도, 각 사업의 주체가 다르고 사업 내용에 관련성이 없다면, 각 사업의 면적을 합산하여 개발부담금을 부과할 수 없습니다. 개발부담금 납부 의무는 개발이익을 실질적으로 받는 사업시행자에게 있습니다.

#개발부담금#개별부과#사업시행자#개발이익

일반행정판례

땅값 오른다고 다 개발부담금 내는 건 아니에요!

땅 주인이 아닌 건설업자가 단순히 공사를 도급받아 진행한 경우, 땅값 상승으로 인한 이익을 직접 얻지 않았다면 개발부담금을 낼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개발부담금#건설업자#토지소유자#도급

일반행정판례

개발부담금, 투자는 낼 필요 없다!

토지 개발로 얻은 이익에 부과하는 개발부담금은 사업시행자만 납부할 의무가 있고, 투자자(출자자)는 납부할 의무가 없다.

#개발부담금#납부의무#사업시행자#출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