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01.14

민사판례

땅 주인을 울린 측량점, 내 땅은 어디까지?

내 땅이라고 생각했던 곳에 옆집 담장이 들어섰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한 일입니다. 오늘은 측량 기준점 때문에 발생한 토지 경계 분쟁에 대한 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원고는 자신의 땅 일부를 피고가 무단으로 점유하고 있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는 지적도상 경계와 실제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지적불부합지'라고 주장하며, 실제 경계를 기준으로 측량하면 자신의 건물은 원고 땅을 침범하지 않는다고 맞섰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지적도상 경계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피고에게 토지 인도 및 건물 철거를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경계복원측량은 토지 등록 당시의 측량 방법과 기준점을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적법 시행령 제45조) 즉, 과거 측량 당시 사용했던 기준점을 기반으로 측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토지 등록 당시 기준점으로 사용되었던 '도근점'이 사라지고 새 도근점이 설치된 상태였습니다. 하급심은 새로운 도근점을 기준으로 측량한 결과를 토대로 판결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문제 삼았습니다.

특히, 이 사건 토지 주변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적도와 실제 경계가 불일치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는 단순히 건물 건축 당시 측량의 오류 때문이 아니라, 기준점 변경으로 인한 오차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하급심이 기존 도근점을 기준으로 한 측량 결과와 새 도근점을 기준으로 한 측량 결과를 비교하지 않고 판결한 것은 심리 미진이라고 판단,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핵심 정리

  • 토지 경계 분쟁 시, 경계복원측량은 토지 등록 당시의 측량 방법과 기준점을 따라야 합니다. (지적법 제25조 제2항, 같은 법 시행령 제45조)
  • 기준점이 변경된 경우, 변경 전후의 측량 결과를 비교하여 신중하게 경계를 판단해야 합니다.
  • 이 사건은 새로운 도근점을 기준으로 측량한 결과만으로 판결한 하급심의 판단을 대법원이 뒤집은 사례입니다. (대법원 1991.6.14. 선고 90다10346,10353 판결, 1991.7.23. 선고 90다15266 판결 참조)

토지 경계 분쟁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영역입니다. 관련 문제가 발생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측량 기준점, 함부로 의심하지 마세요!

국가가 관리하는 삼각점과 도근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적법하게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각점#도근점#적법설치추정#측량

민사판례

옆집 건물이 우리 땅을 침범했어요! 측량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땅 경계선 분쟁 시에는 단순히 최신 측량기술이 아닌, **토지가 처음 등록될 당시의 측량방법과 기준점을 따라 경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과거 측량기술이 부정확하더라도 그 당시 기준을 따라야 하며, 이를 따르지 않은 하급심 판결을 대법원이 뒤집은 사례입니다.

#경계복원측량#토지경계#분쟁#대법원

민사판례

측량 기준점, 어떤 것을 써야 할까? - 토지 경계 분쟁과 측량 감정 이야기

땅 경계 측량에서 여러 전문가 의견이 다를 때, 법원은 어떤 의견을 따라야 할까요? 이 판례는 법원이 여러 감정 결과 중 하나를 선택했더라도 그 선택이 합리적이라면 문제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지적측량#기준점#감정#법원

민사판례

측량 기준점을 잃어버렸을 때, 땅 경계는 어떻게 찾을까요?

땅의 경계를 다시 그을 때(경계복원측량) 원칙적으로 땅이 처음 등록될 당시 사용했던 측량 방법과 기준점을 따라야 하지만, 그 기준점을 찾을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경계복원측량#기지점#도근점#지적도

민사판례

측량 기준점 변경과 토지 점유에 따른 부당이득

토지 경계를 정하는 기준점인 도근점이 없어졌을 때 새로 설치된 도근점을 기준으로 경계를 정할 수 있는지, 그리고 남의 땅을 자기 땅인 줄 알고 사용했을 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도근점#경계복원#선의의 점유#부당이득

민사판례

땅 경계, 어떻게 찾을까요? - 기준점이 사라졌을 때의 경계 복원

땅의 경계를 복원할 때 원래 측량했던 기준점이 없어졌다면, 새로운 기준점(도근점)을 이용한 측량으로 경계를 정할 수 있다.

#경계복원측량#기준점#도근점#측판측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