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내 노사 갈등 중 노조 간부였던 망인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후 전 노조지회장인 피고인이 언론 인터뷰를 통해 회사 대표가 망인을 압박하여 자살에 이르게 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고, 이 발언이 기사화되면서 회사 대표는 명예훼손으로 피고인을 고소했습니다. 과연 피고인의 발언은 명예훼손에 해당할까요? 그리고 그 발언이 허위라는 사실은 누가 입증해야 할까요? 이번 판결에서는 바로 이 '증명책임'의 소재에 대한 중요한 법리가 다뤄졌습니다.
사건의 쟁점:
망인의 자살과 관련하여 피고인이 회사 대표를 비방할 목적으로 언론에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명예를 훼손했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습니다. 특히 피고인의 발언이 허위라는 사실과 피고인이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점을 누가 입증해야 하는지가 핵심이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죄에서 적시된 사실의 허위성과 허위성에 대한 인식은 검사가 증명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다시 말해, 피고인의 발언이 허위라는 점과 피고인이 그 허위성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 모두 검사가 입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검사는 피고인이 여러 언론 매체에 허위 사실을 진술했고, 그 진술 내용이 기사화되었다는 점을 입증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검사가 제출한 증거는 기사 내용뿐이었고, 피고인은 해당 기사를 작성한 모든 기자와 인터뷰를 진행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은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허위 사실을 적시했다는 점이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대법원은 망인의 자살 경위, 당시 회사의 상황, 망인이 처한 상황, 망인과 동료들과의 관계, 유서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피고인의 발언이 허위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오히려 피고인의 발언은 중요 부분에서 객관적 사실에 부합하며, 피고인이 허위성을 인식했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조항 및 판례:
형사판례
인터넷 게시판에 유학원에 대한 부정적인 글을 올린 피고인이 명예훼손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대법원은 검사가 글의 허위성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즉, 인터넷 명예훼손에서 허위사실 적시에 대한 입증 책임은 검사에게 있고, 피고인이 진실을 증명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유죄로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형사판례
감사원 직원이 재벌의 콘도미니엄 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하여 감사 중단 경위 등을 폭로하는 유인물을 배포하고 기자회견을 했지만, 비방 목적이나 허위라는 인식이 없어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결.
형사판례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했을 때, 검사는 해당 발언이 거짓이라는 사실과 고소인이 그 거짓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 모두를 입증해야 합니다.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나 의견 표명은 명예훼손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형사판례
명예훼손죄는 사실을 말해서 남의 명예를 훼손하는 죄인데, 그 사실이 진실이든 거짓이든 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거짓인 경우, 거짓이라는 걸 알고 말했을 때 더 무겁게 처벌된다.
민사판례
판문점 JSA 사망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제작에 대해, 고인의 아버지가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를 주장하며 영화 제작·상영 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으나, 법원은 이를 기각했습니다. 영화의 허구적 요소가 상업영화의 표현 자유 범위 내에 있으며, 고인과 아버지의 명예를 훼손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습니다.
형사판례
피고인들이 검찰에서 범행을 자백했지만, 법정에서는 부인했습니다. 대법원은 자백의 신빙성을 의심할 만한 여러 정황을 고려하여, 자백 외 다른 증거가 부족하므로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