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메이크업 아티스트를 꿈꾸시는 분들 많으시죠? 화려해 보이는 겉모습 뒤에는 전문적인 기술과 자격, 그리고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활동해야 하는 책임감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되기 위한 필수 관문, 면허 취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메이크업 아티스트 면허, 왜 필요할까요?
메이크업은 단순한 화장을 넘어, 사람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전문 분야입니다. 따라서 위생과 안전, 그리고 고객의 건강을 위해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라 면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면허 없이 메이크업 시술을 하면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공중위생관리법 제20조제4항제6호)
2. 메이크업 아티스트 면허,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공중위생관리법 제6조제1항)
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면 메이크업 아티스트 면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미용사(메이크업) 자격증, 어떻게 딸까요?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제14조제3항,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제8조제1항 및 별표8)
자격증 취득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이루어집니다. 두 시험 모두 60점 이상 득점해야 합격입니다.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제20조제1항·제3항)
4. 종합면허, 알고 계신가요?
위에 언급된 면허 취득 요건을 갖추면, 일반미용, 피부미용, 네일미용, 화장·분장미용을 모두 할 수 있는 종합면허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종합면허가 있다면 자격증 없이도 메이크업 샵을 개업할 수 있다는 사실! (공중위생관리법 제6조제1항)
5. 면허를 빌려주거나 빌려서는 안 됩니다! (공중위생관리법 제20조제4항제1호)
면허를 빌려주거나 빌린 사람 모두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면허는 개인의 자격을 증명하는 중요한 문서이므로, 절대 타인에게 빌려주거나 빌려서는 안됩니다.
6. 면허 취득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공중위생관리법 제6조제2항, 공중위생관리법 시행령 제6조 및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9조제3항)
7. 더 자세한 정보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Q-NET 홈페이지(www.q-net.or.kr)에서 자격 정보, 시험 일정 등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이크업 아티스트를 향한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정확한 정보와 철저한 준비를 통해 당당하게 면허를 취득하고 멋진 아티스트로 성장하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미용사(메이크업) 면허 취득 방법, 재발급 절차, 취소/정지 사유(피성년후견인, 결격사유 해당, 면허 대여, 국가기술자격 취소 등)와 관련 법률을 정리하여 메이크업 아티스트 지망생에게 안내합니다.
생활법률
메이크업 아티스트 채용 시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미용사 면허 확인, 서면 근로계약서 작성(임금, 근로시간, 휴일, 연차, 업무 내용 등 명시), 4대보험 의무 가입을 준수해야 한다.
생활법률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되려면 미용사(메이크업) 면허가 필수이며, 메이크업, 분장, 눈썹 손질(의료행위 제외) 등의 업무를 등록된 영업소 내에서 수행해야 하지만, 고객의 방문이 어렵거나 행사, 봉사, 촬영 등의 특별한 경우는 예외적으로 외부에서도 가능하다.
생활법률
미용 관련 학과 졸업(또는 동등 학력), 학점은행제 미용 학위 취득, 미용사 국가자격증 취득 등의 자격 요건을 갖추고, 피성년후견인, 정신질환자(전문의 인정 예외), 결핵 환자, 마약 등 중독자, 면허 취소 후 1년 미경과자가 아니라면 미용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생활법률
피부미용사 면허는 미용 관련 학력, 미용사(피부) 자격증 취득 등의 자격 요건을 갖추고 결격사유가 없다면 취득 가능하다.
생활법률
미용사 면허는 시/군/구청에 신청서, 건강진단서, 사진, 학력/자격 증명서를 제출하고 수수료 납부 후 발급받으며, 결격사유(정신질환, 결핵, 마약중독 등)에 해당하거나 면허 대여, 성매매 알선 등 불법행위 시 취소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