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9.08

일반행정판례

무허가 건축물 철거, 대집행 계고처분 취소소송에서 알아야 할 것들

원고들은 자신들의 건축물에 대한 행정대집행 계고처분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과연 어떤 쟁점들이 있었고, 법원은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사건의 핵심 내용을 짚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광주광역시 서구청장(피고)은 원고들에게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철거를 명령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대집행을 하겠다는 계고처분을 내렸습니다. 원고들은 이에 불복하여 계고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주요 쟁점 및 법원의 판단

  1. 청구취지의 특정 여부

원고들은 소장에 "피고가 1997. 2. 20. 원고들에 대하여 한 위법건축물에 대한 행정대집행계고처분을 취소한다."라고 기재했습니다. 법원은 이 청구취지가 충분히 특정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같은 날짜에 여러 개의 계고처분이 존재하지 않는 한, 어떤 처분을 다투는지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관련 법조문: 행정소송법 제8조, 민사소송법 제227조)

  1. 선행행위(철거명령)의 위법성 주장 가능 여부

원고들은 대집행 계고처분의 근거가 된 철거명령 자체가 위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철거명령에 대해 별도의 행정심판이나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다면, 철거명령은 적법한 것으로 확정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대집행 계고처분 단계에서 철거명령의 위법성을 다툴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문: 행정대집행법 제3조, 제7조, 행정소송법 제1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5. 12. 9. 선고 75누218 판결, 대법원 1982. 5. 25. 선고 81누44 판결, 대법원 1982. 7. 27. 선고 81누293 판결)

  1. 기타 쟁점

원고들은 건물의 용도변경, 도시계획구역 여부, 건물 소유권 등 여러 가지 주장을 펼쳤지만, 법원은 이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증거자료와 관련 법규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 사건 건물이 무허가 건축물이라는 점이 명백하고, 원고들이 철거의무를 부담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결론

법원은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행정대집행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원고들이 제기한 다른 주장들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은 무허가 건축물과 관련된 행정처분에 대한 법원의 일반적인 입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무허가 건축물 철거, 읍·면장도 할 수 있을까? 대집행 계고처분 권한에 대한 법원의 판단

군수로부터 대집행 사무를 위임받은 읍·면장은 무허가 건축물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처분을 할 권한이 있으며, 대집행 대상은 계고서 외 다른 자료들을 통해서도 특정될 수 있다. 또한, 대집행 자체에 위법이 있더라도 그 이전 단계인 계고처분까지 위법해지는 것은 아니다.

#읍면장#무허가건축물#철거#대집행

일반행정판례

대집행과 비용 납부, 뭐가 문제일까?

대집행이 이미 완료된 경우, 계고처분 자체는 취소할 수 없지만, 계고처분의 위법성을 근거로 대집행비용 납부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대집행#계고처분#비용납부명령#위법성

일반행정판례

건물 철거 대집행, 알아둬야 할 핵심 포인트!

무허가 건물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처분의 요건과 적법성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집행 대상의 명확성, 공장 등록 및 재산세 납부의 효력, 대집행의 필요성, 그리고 재량권 일탈 여부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대집행#계고처분#적법성#무허가건물

일반행정판례

건축물 철거, 무조건 해야 할까요? - 대집행 계고처분의 위법성

건축법을 위반한 건물이라도 철거 명령을 내리려면 위반 내용이 명확해야 하고, 그 위반이 공익을 크게 해칠 때만 가능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건물의 일부가 이웃 땅을 침범했지만, 그 면적이 정확하지 않아 철거 범위를 특정하기 어려웠고, 위반 정도가 경미하여 공익을 크게 해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철거 명령이 위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건축법 위반#철거 명령#적법성#공익

일반행정판례

불법 건축물 철거, 대집행, 그리고 공유자

불법 건축물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의 효력 범위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집행 대상은 계고서 외 다른 자료를 통해서도 특정될 수 있으며, 반복된 계고는 단순한 기한 연장으로 행정처분이 아닙니다. 또한, 공유 건물의 경우 계고처분은 해당 계고서를 받은 공유자에게만 효력이 있습니다.

#대집행계고#효력범위#공유건물#공유자

일반행정판례

무허가 건물 철거, 두 번 계고했다고 다 행정처분은 아닙니다!

허가 없이 지은 건물에 대한 철거 명령 후, 철거 기한 연장을 위해 보낸 2차 계고는 새로운 처분이 아니며, 주거/상업지역의 무허가 건물은 도시 미관 등을 위해 철거될 수 있다.

#무허가 건물#철거 명령#2차 계고#행정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