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12.07

형사판례

물건 부수면 무조건 재물손괴죄? 잠깐! 범죄 성립 요건 알아보기

최근 이웃과의 갈등으로 화가 나 상대방의 물건을 망가뜨리는 일이 발생했다면, 나도 모르는 사이 재물손괴죄를 저지른 것일 수 있습니다. 욱하는 마음에 저지른 행동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재물손괴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을 살펴보고, 정신질환으로 인한 감형 가능성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1. 재물손괴죄란 무엇일까요?

형법 제366조에 따르면, 타인의 재물, 문서 또는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을 손괴 또는 은닉 기타 방법으로 기 효용을 해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다른 사람의 물건을 부수거나 숨기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쓸모없게 만들면 재물손괴죄가 성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효용을 해한다'는 것은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대법원은 '효용을 해한다'는 것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습니다 (대법원 1992.7.28. 선고 92도1345 판결). 단순히 물건의 본래 사용 목적을 완전히 잃게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라도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것도 포함됩니다. 즉, 잠깐 동안이라도 원래 목적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면 재물손괴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타이어를 펑크 내거나 자전거 바퀴를 망가뜨리는 행위도 일시적인 사용 불능 상태를 초래하므로 재물손괴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3. 고의가 없었다면 재물손괴죄가 아닌가요?

재물손괴죄는 '고의'가 있어야 성립하는 범죄입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계획적인 손괴 의도나 적극적인 손괴 희망까지는 요구하지 않습니다. 단지 소유자의 의사에 반하여 재물의 효용을 해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대법원 1992.7.28. 선고 92도1345 판결). 즉, 내 행동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물건을 망가뜨릴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행동을 했다면 고의가 인정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4. 심신미약 상태였다면 감형받을 수 있을까요?

심신미약 상태에서 범죄를 저지른 경우, 형이 감경될 수 있습니다(형법 제10조). 하지만 심신미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반드시 전문가 감정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범행 경위, 수단, 범행 전후 행동, 공판정에서의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90.11.27. 선고 90도2210 판결, 대법원 1991.9.13. 선고 91도1473 판결, 대법원 1992.12.22. 선고 92도2540 판결). 즉, 전문가 감정 없이도 법원의 판단에 따라 심신미약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재물손괴죄는 생각보다 쉽게 성립될 수 있는 범죄입니다. 타인의 물건을 다룰 때는 항상 신중해야 하며, 분쟁 발생 시에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재물손괴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물건을 못 쓰게 만드는 것, 모두 재물손괴죄일까요?

물건을 완전히 부수지 않더라도, 일시적으로라도 그 물건을 본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 만들면 재물손괴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재물손괴죄#일시적 사용방해#효용침해#자구행위 배척

형사판례

남의 물건 못 쓰게 하면 재물손괴죄? 일시적으로라도 안 돼요!

타인의 재물을 잠시라도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행위도 재물손괴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재물손괴죄#효용#일시적 사용불능#형법 제366조

형사판례

자동차로 다른 차를 부쉈다면? 특수재물손괴죄 성립!

자동차로 다른 사람의 차를 파손하면, 사람이 다치지 않았더라도 특수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자동차#재물손괴#특수재물손괴죄#위험한 물건

형사판례

업무방해, 재물손괴, 협박… 이 죄들은 어떤 관계일까요?

업무방해 과정에서 재물을 손괴하거나 협박한 경우, 업무방해죄와 별도로 재물손괴죄와 협박죄가 성립한다. 또한, 흉기를 휴대하여 재물을 손괴하는 경우 가중처벌하는 법률 조항은 합헌이다.

#업무방해#재물손괴#협박#흉기휴대

형사판례

건물 외부에 그림 그리는 행위, 재물손괴죄일까?

타인의 건물 외부에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건물의 효용을 해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재물손괴죄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시적인 사용불능 상태 초래도 재물손괴에 포함된다.

#건물 그림#재물손괴죄#효용 해손#원상복구

형사판례

남의 땅에 내 건물을 지으면 재물손괴죄일까?

타인 소유의 토지에 허락 없이 건물을 지었다고 해서 무조건 재물손괴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토지의 본래 용도대로 사용했고, 토지 자체의 효용을 훼손하지 않았다면 재물손괴죄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재물손괴죄#토지#건물#무단 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