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에 버려진 오토바이, 보기 안 좋죠? 그래서 치워달라는 민원도 많이 들어오는데요. 이런 오토바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경찰관이 잘못된 판단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경찰관이 직무유기죄로 처벌받은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파출소 경찰관이 버려진 오토바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토바이센터 사장에게 연락하여 오토바이를 가져가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그 대가로 돈을 받았는데요. 이 경찰관은 편의를 봐준 것뿐이라고 생각했겠지만, 법원은 이 행위를 직무유기로 판단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경찰관은 습득물 처리 지침에 따라 버려진 오토바이를 경찰서에 보내 처리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경찰관은 지침을 따르지 않고 오토바이센터 사장에게 오토바이를 넘겨 마음대로 처리하도록 했습니다. 더군다나 그 대가로 돈까지 받았죠. 이런 행위는 단순히 오토바이 보관을 부탁하거나 소유자를 찾도록 협조를 구한 것을 넘어, 오토바이센터 사장에게 오토바이를 임의로 처분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법원은 이 경찰관이 자신의 직무를 의식적으로 포기한 것으로 보고 직무유기죄를 적용했습니다. (형법 제122조)
핵심 포인트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번 판례를 통해 버려진 오토바이 처리 과정에서도 법과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경찰관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습득물 처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예방해야 하겠습니다.
형사판례
경찰관이 압수한 증거물을 돌려줘 증거를 없앤 경우, 직무를 안 한 것(직무유기)과 증거를 없앤 것(증거인멸) 중 어떤 죄가 적용될까요? 이 판례는 증거인멸죄만 적용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민사판례
10대 청소년들이 오토바이를 훔쳐 달아나다 경찰의 검문에 불응하고 도주하자, 경찰관이 오토바이 바퀴를 향해 실탄을 발사하여 탑승자 한 명이 총상을 입은 사건에서, 대법원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사회 통념상 허용 범위를 벗어난 위법 행위라고 판결했습니다.
형사판례
주인 허락 없이 오토바이를 타고 가서 다른 곳에 버리면, 단순히 불법 사용한 것이 아니라 훔친 것으로 봐야 한다.
민사판례
치킨집 직원이 퇴근 후 허락 없이 배달용 오토바이를 친구와 술 마시고 운전하다 사고를 냈을 때, 치킨집 사장도 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
민사판례
경찰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법으로 정해진 권한을 적절히 행사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명백히 부당하다면 국가가 배상책임을 진다.
형사판례
음주운전 단속 경찰관이 운전면허 취소를 막아달라는 청탁과 함께 돈을 받으면, 설사 해당 경찰관이 직접 면허 취소 업무를 담당하지 않더라도 뇌물수수죄가 성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