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06.23

민사판례

변호사 보수,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소송비용 분담과 법원의 역할

소송을 하다 보면 변호사 선임은 필수적이죠. 그런데 여러 소송이 하나로 합쳐지거나, 소송비용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변호사 보수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또, 이러한 결정은 누가 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통해 소송비용, 특히 변호사 보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별개 소송의 병합과 변호사 보수

만약 여러분이 각각 다른 소송에서 같은 변호사를 선임했는데, 나중에 이 소송들이 하나로 합쳐졌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때 변호사 보수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이 경우, 각 소송의 소송물가액을 기준으로 변호사 보수를 따로 계산한 후 합산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소송이 병합되었다고 해서 변호사 보수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참고)

  • 민사소송법 제109조: 소송비용은 패소한 당사자가 부담한다.
  • 구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 제3조: 소송물가액에 따라 변호사 보수의 비율을 정한다. (2007. 11. 28. 대법원 규칙 제211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 대법원 2000. 11. 30.자 2000마5563 전원합의체 결정: 공동소송인들이 같은 변호사를 선임한 경우, 소송물가액을 합산하여 변호사 보수를 계산한다.

2. 소송비용 확정은 누가?

소송이 끝나면 소송비용을 확정해야 하는데, 이는 누구의 권한일까요? 사법보좌관? 단독판사? 아니면 합의부?

대법원은 소송비용액 확정결정은 제1심 수소법원의 전속관할이라고 명확히 했습니다. 즉, 어떤 사건을 담당한 법원이 그 사건의 소송비용까지 확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법보좌관은 해당 업무를 처리할 수 있지만, 최종적인 결정 권한은 수소법원에 있습니다.

(참고)

  • 민사소송법 제110조 제1항: 소송비용액 확정은 제1심법원이 한다.
  • 법원조직법 제54조: 사법보좌관의 업무 범위를 규정한다.
  • 사법보좌관규칙 제2조 제1항 제1호, 제4조: 사법보좌관의 소송비용액 확정 업무 및 이의신청 절차를 규정한다.

3. 합의부 사건, 단독판사가 처리해도 될까?

만약 합의부에서 재판한 사건의 소송비용 확정을 단독판사가 처리한다면 어떨까요?

대법원은 이를 전속관할 위반이라고 판단했습니다. 합의부 사건은 합의부에서, 단독판사 사건은 단독판사에서 소송비용을 확정해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입니다.

(참고)

  • 민사소송법 제110조 제1항: 소송비용액 확정은 제1심법원이 한다.
  • 법원조직법 제54조: 사법보좌관의 업무 범위를 규정한다.
  • 사법보좌관규칙 제2조 제1항 제1호, 제4조: 사법보좌관의 소송비용액 확정 업무 및 이의신청 절차를 규정한다.

이처럼 소송비용, 특히 변호사 보수는 소송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관련 법률과 판례를 잘 이해하여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비용, 어디까지 따져볼 수 있을까? 공동소송인의 변호사 보수 계산은 어떻게?

여러 명이 함께 소송을 진행하면서 같은 변호사를 선임한 경우, 소송비용 중 변호사 보수는 각자 따로 계산해서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소송 가액을 기준으로 한 번에 계산해야 한다. 만약 소송 내용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가장 큰 금액의 소송 가액만 기준으로 계산한다. 또한, 소송비용 확정 절차에서는 비용 금액만 정할 수 있고, 누가 비용을 부담할지는 다시 다룰 수 없다.

#공동소송#소송비용#변호사보수#계산방법

민사판례

소송비용 분담과 변호사 보수, 얼마나 내야 할까?

소송에서 양쪽이 비용을 일정 비율로 나눠 내기로 했을 때, 법원이 정확한 금액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변호사 보수가 너무 많다고 생각될 때 법원이 줄일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소송비용#상계#변호사 보수#감액

민사판례

공동소송에서 소송비용, 특히 변호사 보수 계산은 어떻게 할까요?

여러 명이 함께 소송하는 경우, 소송비용, 특히 변호사 보수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공동소송인 일부만 비용 확정을 신청하거나, 일부만 상대로 신청했을 때, 그리고 본소와 반소가 함께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서 변호사 보수를 포함한 소송비용 계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공동소송#소송비용#변호사보수#계산방법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소송했을 때 변호사 비용은 어떻게 나눠야 할까요?

여러 명이 함께 소송(공동소송)해서 이기면, 상대방이 소송비용을 부담하는데, 변호사 보수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 판례는 공동소송인들이 각자 변호사를 선임했을 때, 상대방이 부담해야 할 변호사 보수 계산 방법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특히, 소송에서 일부만 이겼을 경우 계산이 복잡해지는데, 이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공동소송#변호사 보수#분담#일부 승소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소송했을 때 변호사 비용은 어떻게 받을까?

여러 명이 같이 소송(공동소송)을 하면서 각자 다른 변호사를 선임했을 때, 상대방이 소송비용을 전부 부담해야 한다면, 각 공동소송인에게 돌아가는 변호사 비용은 각자의 청구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여러 사람이 변호사를 나눠 쓰는 것처럼 계산해서 변호사 비용을 나누는 것이 아닙니다.

#공동소송#각자변호사#소송비용#전액부담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소송할 때 소송비용은 어떻게 계산할까?

여러 명이 함께 소송(공동소송)을 진행했는데, 소송이 끝나고 비용을 확정할 때 일부만 신청했을 경우, 전체 공동소송인들을 기준으로 비용을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공동으로 변호사를 선임했을 때 소송비용(변호사 보수) 산정 기준도 제시했습니다.

#공동소송#소송비용확정#변호사보수#부담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