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내 집 마련의 꿈, 혹은 투자 목적으로 부동산 매입을 계획하고 계신가요? 설렘 가득한 마음으로 계약서에 도장 찍기 전, 꼭 알아둬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해봤습니다. 꼼꼼한 확인만이 후회 없는 부동산 거래를 보장합니다!
1. 계약 전 꼼꼼 체크는 필수!
건물을 고르셨다면, 매매계약 전 반드시 다음 서류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위 서류들은 시군구청 민원실, 읍면동 주민센터, 씨:리얼(seereal.lh.or.kr)에서 발급 및 열람 가능합니다.
2. 현장 방문, 눈으로 직접 확인하세요!
서류 확인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현장 방문입니다. 직접 가서 눈으로 확인해야 실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 사항들을 꼼꼼하게 체크하세요.
3. 계약 체결, 신중 또 신중하게!
4. 계약 후, 소유권 이전까지 꼼꼼하게!
5. 세금도 잊지 마세요!
부동산 매입 시 발생하는 세금에는 취득세, 인지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등이 있습니다. 각 세금의 계산 방식과 감면 혜택 등을 미리 확인하여 예산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방세법, 인지세법, 지방세특례제한법, 농어촌특별세법).
부동산 거래는 큰 금액이 오가는 중요한 계약입니다. 위에 안내된 사항들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여 안전하고 성공적인 거래를 하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주택 매매/임대차 계약 시 계약 전(등기부등본, 토지/건축물대장, 토지이용계획확인서 확인), 계약 시(계약 상대방/계약서 확인, 잔금/영수증), 계약 후(매매 시 실거래가 신고/소유권 이전 등기, 임대차 시 전입신고/확정일자/임대차 신고) 필수 절차를 준수하여 안전한 거래를 해야 한다.
생활법률
농지 매매 계약 시 매도인의 실제 소유권, 매수인의 농지취득자격증명, 대리권, 공인중개사의 등록 여부 및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법적 문제와 금전적 손해를 예방할 수 있다.
생활법률
부동산 매매 계약 시 등기부등본, 건축물/토지 관련 서류를 확인하고, 계약서 작성, 대금 지급, 소유권 이전 등기, 부동산 거래 신고, 세금 납부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자세한 정보는 마이홈, 이지로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담사례
내 집 마련 시 서류(등기사항증명서, 토지/임야/건축물대장,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등)와 현장 확인을 통해 부동산 정보를 꼼꼼히 검토하고, 매도인 신원 및 권리 관계(잦은 소유권 변경, 복잡한 권리 설정 등)를 확인 후 대금 지급, 등기 이전까지 신중하게 진행해야 안전하게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다.
생활법률
부동산 매매 계약 시 매도인의 실소유권과 대리권을 등기부등본, 위임장, 인감증명서 등으로 확인하여 명의신탁 등의 불법적인 거래를 피해야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다.
생활법률
전/월세 계약 전후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등에서 부동산등기부등본(표제부, 갑구, 을구)을 확인하여 소유권, 저당권 등 권리관계와 변동사항을 파악하고, 계약 당사자, 확정일자를 통해 보증금을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