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1.14

민사판례

부동산 압류와 소유권 이전, 그 타이밍의 중요성!

부동산 거래를 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문제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특히 세금 체납과 관련된 압류 문제는 복잡하고 어려워 일반인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압류된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 시점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하여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사례: 어떤 회사(소외 1 회사)가 세금을 체납하자, 관할 구청은 회사 소유 부동산을 압류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소외 1 회사와 신탁계약을 맺고 해당 부동산 소유권을 이전받았습니다. 그런데 소외 1 회사가 추가로 세금을 체납하게 되면서, 구청은 기존 압류를 근거로 원고 소유의 부동산을 공매 처분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소유권 이전 시점을 따져 압류 효력이 자신에게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 과연 세금 체납으로 인한 압류 효력이 새로운 소유자에게 미치는 기준 시점은 언제일까요? 등기가 완료된 날일까요? 아니면 등기 신청 접수일일까요?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등기 신청 접수일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관련 법률들을 살펴보면, 지방세법은 전세권 등의 설정 시점을 등기부등본에 기재된 등기 신청 접수일로 판단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지방세법 제31조 제3항, 같은 법 시행령 제15조 제1호, 구 부동산등기법 제57조 제2항). 이러한 판단 기준은 국세징수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국세징수법 제47조 제2항은 압류 후 발생한 체납액에 대해 압류 효력이 미치려면 체납 조세의 법정기일이 소유권 이전일 "전"에 도래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의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 접수일과 추가 체납된 세금의 법정기일이 같았기 때문에, 압류 효력이 원고에게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즉, 등기 신청 접수일이 체납 세금의 법정기일과 같거나 그 이후라면, 새로운 소유자는 압류의 효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관련 법조항:

  • 지방세법 제31조 제2항 제3호, 제3항, 제82조
  • 지방세법 시행령(2002. 12. 30. 대통령령 제1784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1호
  • 구 부동산등기법(2008. 3. 21. 법률 제892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7조 제2항
  • 국세징수법 제47조 제2항

결론: 부동산 거래, 특히 압류가 걸려있는 부동산을 거래할 때에는 소유권 이전 시점과 체납 세금의 법정기일을 꼼꼼히 확인해야 예상치 못한 손해를 피할 수 있습니다. 등기 신청 접수일이라는 중요한 기준일을 기억해두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 부동산 샀는데 압류당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부동산 매매 대금 완납 후 등기 전 판매자의 체납 세금으로 압류당했을 경우, 판매자에게 해결 요청하거나 대신 납부 후 구상권 행사를 해야 하며, 사전에 체납 여부 확인 및 신속한 등기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동산압류#등기미처리#체납세금#압류취소소송불가

세무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된 부동산을 샀다면? 압류 효력 범위 알아보기

세금 안 낸 사람의 부동산이 압류된 후 다른 사람에게 팔렸다면, 압류는 소유권이 넘어가기 전에 발생한 세금 체납액에 대해서만 효력이 있다. 즉, 새로운 주인은 이전 주인이 소유권 이전 후에 발생시킨 세금 체납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는다.

#세금 체납#부동산 압류#소유권 이전#압류 효력

세무판례

세금 때문에 압류된 부동산을 샀는데… 소송 걸 수 있을까?

세금 체납으로 이미 압류된 부동산을 나중에 사들인 사람은 그 압류나 공매 처분 자체를 무효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없다.

#세금 체납#압류 부동산#소유권 취득#압류 취소 소송

세무판례

세금 안 내면 국가 땅 사는 권리도 압류당할 수 있다?!

국가에 세금을 체납한 사람이 국가로부터 땅을 사기로 했지만 아직 소유권 이전등기를 받지 못한 경우, 국가는 체납자의 그 땅에 대한 소유권이전청구권을 압류할 수 있습니다. 이 압류는 관련 서류가 담당 관청에 도착한 시점부터 효력이 발생하며, 체납자에게 압류 사실을 통지하지 않았더라도 압류 자체는 유효합니다.

#국세체납#압류#소유권이전청구권#효력발생시기

세무판례

세금 때문에 압류된 부동산, 나중에 산 사람이 취소해달라고 할 수 있을까?

세금 체납으로 이미 압류된 부동산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산 경우, 그 압류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낼 수 없다.

#세금 체납#압류#부동산#원고적격

일반행정판례

압류된 부동산을 샀는데, 세금 문제가 아직 남아있다면?

세금 때문에 압류된 부동산을 다른 사람이 사서 소유권 이전까지 마쳤다면, 그 사람도 세무서에 압류 해제를 신청할 수 있고, 세무서가 부당하게 거부하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세금을 면제해주는 결손처분을 취소하려면 납세자에게 반드시 알려야 하며, 이를 어긴 결손처분 취소는 효력이 없다.

#압류해제#부동산#매수인#결손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