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6.13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계산, 취득가액이 불분명할 땐 어떻게? (feat. 대법원 판결)

부동산을 팔 때 내야 하는 세금, 양도세! 계산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특히, 예전에 산 부동산의 취득가액을 정확히 알 수 없을 때 어떻게 세금을 계산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통해 양도세 계산의 중요한 원칙을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세 계산의 기본: 양도차익

양도세는 양도차익에 세율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양도차익은 '양도가액(판 금액) - 취득가액(산 금액) - 필요비용(취득·등록세 등)'입니다. 취득가액이 정확해야 양도차익과 그에 따른 세금을 제대로 계산할 수 있겠죠?

취득가액이 불분명하다면? 기준시가!

만약 오래전에 부동산을 취득해서 취득가액을 증명할 서류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과거에는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24조의2 제7항'에 따라 복잡한 산식으로 취득가액을 추정하여 계산했었습니다. 이 조항은 양도가액이나 취득가액 둘 중 하나만 불분명해도 그 불분명한 가액을 계산식으로 환산해서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시행령 조항은 무효!

하지만 대법원은 위 시행령 조항이 잘못되었다고 판결했습니다. ('구 법인세법' 제59조의2 제3항 및 그 단서 해석에 대한 판결) 대법원은 양도가액이나 취득가액 중 하나라도 불분명하면 둘 다 기준시가를 사용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즉, 시행령처럼 불분명한 가액만 계산식으로 환산하는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 기준시가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죠.

대법원은 그 이유로 조세법률주의를 들었습니다. 세금은 법률로 정해야 하고, 시행령이 법률의 범위를 벗어나 자의적으로 세금 계산 방법을 정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위 시행령은 상위법인 법률에서 정한 방식과 다르게 양도차익을 계산하도록 규정했기 때문에 무효라는 것이죠.

핵심 정리

  • 양도세 계산의 핵심은 '양도차익'입니다.
  • 양도가액이나 취득가액이 불분명한 경우, 둘 다 기준시가를 사용해 양도차익을 계산해야 합니다. (구 법인세법 제59조의2 제3항 단서, 대법원 1991.7.12. 선고 90누8527 판결 등 다수 판례)
  • 시행령이라도 법률의 내용과 다르게 세금을 계산하도록 규정하면 무효입니다. (조세법률주의)

참고 조문 & 판례

  • 구 법인세법 (1990.12.31. 법률 제42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9조의2 제3항
  • 구 법인세법시행령 (1990.5.1. 대통령령 제129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24조의2 제7항
  • 대법원 1991.7.12. 선고 90누8527 판결, 1992.7.24. 선고 92누3762 판결, 1993.7.27. 선고 93누8511 판결 등

결론

양도세 계산, 특히 취득가액이 불분명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셨다면, 이번 판례를 통해 명확히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복잡한 세금 계산, 정확한 정보로 꼼꼼하게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가액이 불분명할 때, 세금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부동산을 팔 때 발생하는 이익(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판매 가격(양도가액)이나 구입 가격(취득가액) 중 하나라도 정확히 알 수 없으면 기준시가를 사용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양도차익#양도가액#취득가액#기준시가

세무판례

옛날 부동산 팔 때 세금 계산,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1999년 이전에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양도가액을 실제 거래가격으로 신고하면 취득가액도 실제 거래가격(또는 그에 준하는 가액)으로 계산해야 하며, 세법을 잘못 이해하거나 세무공무원의 설명을 잘못 들었다는 이유로 가산세를 면제받을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부동산 양도소득세#취득가액#실거래가#기준시가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차익 계산, 실거래가액과 기준시가, 어떤 걸 써야 할까?

옛날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르면, 부동산을 사고팔 때 국가, 지자체, 회사 등 법인과 거래한 가격이 확인되면, 다른 한쪽 거래도 실제 거래가격을 확인해서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확인이 안 되면 법인과 거래한 쪽은 실제 거래가격, 다른 쪽은 정부가 정한 기준시가로 계산합니다.

#부동산#양도소득세#취득가액#양도가액

세무판례

땅 팔았을 때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요? (양도소득세 계산 A to Z)

토지 양도로 발생한 차익에 대한 세금 계산 시, 실제 거래 가격과 기준시가 중 어떤 것을 적용할지, 토지 취득 시기를 언제로 볼지, 그리고 어떤 비용들을 필요경비로 인정해 세금 계산 시 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토지#양도차익#실지거래가액#기준시가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소득세, 알쏭달쏭한 계산법 제대로 알아보기

부동산을 팔았을 때 세금(양도소득세)을 계산할 때 실제 거래 가격(실거래가)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기준시가를 사용하지만, 기준시가로 계산한 세금이 실거래가로 계산한 세금보다 많을 수는 없다. 또한, 매매계약서가 있다고 해도 다른 증거들을 고려했을 때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판단되면, 법원은 계약서의 내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양도소득세#실거래가#기준시가#매매계약서

세무판례

상속받은 부동산을 팔았는데, 양도세는 얼마나 내야 할까요? (취득가액 계산의 중요성)

상속받은 부동산을 양도할 때 취득가액을 계산하는 방식에 대한 판결로, 상속 당시의 정상가액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원심은 상속세 과세가액 등을 근거로 정상가액을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오류로 보고 파기환송했습니다.

#상속부동산#양도소득세#취득가액#정상가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