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시의회를 상대로 제기한 생활임금 조례 개정안 무효확인 소송에서 대법원이 시의회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이번 판결로 부산시는 시 소속뿐 아니라 시와 공공계약을 맺은 기관, 단체, 업체 소속 근로자에게도 생활임금을 적용하는 조례를 시행해야 합니다.
쟁점은 무엇이었나?
부산시의회는 2022년 생활임금 적용 대상을 확대하는 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에 부산시장은 해당 조례안이 시장의 권한을 침해한다며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법원의 판결은?
대법원은 부산시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판결의 의미는?
이번 판결은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임금 조례 제정 권한을 폭넓게 인정한 것으로, 다른 지자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활임금 적용 대상 확대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일반행정판례
부산시가 공공임대주택 임차인도 공동주택 감사를 요청할 수 있도록 조례를 만들었는데, 시장이 상위법 위반이라며 반대했지만 대법원은 조례가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부산광역시의회가 시장이 임명하는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사검증 조례를 만들었지만, 대법원은 시장의 임명권을 침해하고 법률의 위임 없이 주민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등 위법하다고 판결하여 무효가 되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부산시의회가 건축조례를 개정하면서 건축위원회 위원의 정보공개 동의 의무화, 회의록 녹취 의무화, 행정사무조사 시 위원 실명 회의록 제출 의무화 등을 규정했는데, 부산시장은 이 조례안이 상위법령에 위반된다며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은 조례안이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부산광역시의회가 상임위원회 보좌를 위한 기간제근로자 인건비 예산을 편성했지만, 관련 법령에 근거가 없어 무효라는 판결. 지방의회는 법령과 조례에 따라서만 예산을 편성할 수 있다는 원칙 재확인.
일반행정판례
광주 동구의회가 생활이 어려운 자활보호대상자 중 일부에게 생계비를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었는데, 동구청장은 이 조례가 국가 법률에 위반된다고 주장하며 무효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조례가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시·군·구 의회가 법령에 어긋나는 조례를 만들었을 때, 중앙정부 장관(주무부장관)이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시·도지사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판단했고, 일부 대법관은 중앙정부 장관도 제소할 수 있어야 한다는 반대 의견을 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