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7.13

일반행정판례

부산시 생활임금 조례, 대법원에서 시의회 손 들어줘

부산시가 시의회를 상대로 제기한 생활임금 조례 개정안 무효확인 소송에서 대법원이 시의회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이번 판결로 부산시는 시 소속뿐 아니라 시와 공공계약을 맺은 기관, 단체, 업체 소속 근로자에게도 생활임금을 적용하는 조례를 시행해야 합니다.

쟁점은 무엇이었나?

부산시의회는 2022년 생활임금 적용 대상을 확대하는 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에 부산시장은 해당 조례안이 시장의 권한을 침해한다며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생활임금 지급 사무가 지자체 고유 사무인가? 부산시는 시 소속이 아닌 근로자에게 생활임금을 지급하는 것은 시의 자치사무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2. 시장의 예산안 편성권 침해 여부: 조례안이 시장의 예산안 편성권을 침해하는지가 또 다른 쟁점이었습니다.
  3. 시장의 인사권 침해 여부: 부산시는 조례안이 시장의 인사권, 특히 임금 결정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했습니다.
  4.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 조례안이 근로조건 자유결정의 원칙을 규정한 근로기준법 제4조에 위반되는지도 다투어졌습니다.
  5. 조례안 내 규정끼리 충돌하는지 여부: 부산시는 조례안의 일부 규정들이 서로 상충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결은?

대법원은 부산시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1. 생활임금 지급 사무는 지자체의 자치사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방자치법 제13조 제2항 제2호).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사업이라는 이유였습니다.
  2. 조례안이 시장의 예산안 편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헌법 제117조 제1항, 지방자치법 제28조 제1항,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2추22 판결). 생활임금 적용 대상 결정 권한은 여전히 시장에게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3. 조례안이 시장의 인사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방자치법 제118조, 대법원 1997. 4. 11. 선고 96추138 판결, 대법원 2000. 11. 10. 선고 2000추36 판결). 지방의회의 소극적·사후적 개입은 적법하며, 조례안이 시장의 임금 결정권한을 완전히 박탈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4. 조례안이 근로기준법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4조,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8다200709 판결). 근로기준법 제4조는 근로자에게 불리한 근로조건을 막기 위한 것이지, 유리한 조건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했습니다.
  5. 조례안 내 규정들이 상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조례가 상위법령에 위반되지 않는 이상 효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판결의 의미는?

이번 판결은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임금 조례 제정 권한을 폭넓게 인정한 것으로, 다른 지자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활임금 적용 대상 확대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부산시 공동주택 감사 조례, 대법원에서 적법 판결!

부산시가 공공임대주택 임차인도 공동주택 감사를 요청할 수 있도록 조례를 만들었는데, 시장이 상위법 위반이라며 반대했지만 대법원은 조례가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부산시#공공임대주택#임차인#감사

일반행정판례

부산시의회의 공공기관 인사검증 조례, 대법원에서 제동!

부산광역시의회가 시장이 임명하는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사검증 조례를 만들었지만, 대법원은 시장의 임명권을 침해하고 법률의 위임 없이 주민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등 위법하다고 판결하여 무효가 되었습니다.

#부산시의회#공공기관 인사검증 조례#대법원#무효

일반행정판례

부산시 건축조례 개정안, 대법원에서 효력 인정받아

부산시의회가 건축조례를 개정하면서 건축위원회 위원의 정보공개 동의 의무화, 회의록 녹취 의무화, 행정사무조사 시 위원 실명 회의록 제출 의무화 등을 규정했는데, 부산시장은 이 조례안이 상위법령에 위반된다며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은 조례안이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부산시#건축조례#개정안#정보공개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마음대로 예산 못 써요! - 상임위원회 보조인력 예산 무효 판결 이야기

부산광역시의회가 상임위원회 보좌를 위한 기간제근로자 인건비 예산을 편성했지만, 관련 법령에 근거가 없어 무효라는 판결. 지방의회는 법령과 조례에 따라서만 예산을 편성할 수 있다는 원칙 재확인.

#지방의회#보좌인력#예산#무효

일반행정판례

우리 동네, 더 촘촘한 복지 가능할까? 지자체 복지 조례 이야기

광주 동구의회가 생활이 어려운 자활보호대상자 중 일부에게 생계비를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었는데, 동구청장은 이 조례가 국가 법률에 위반된다고 주장하며 무효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조례가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지방자치#저소득층 지원#조례#법률 위반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가 만든 조례, 누가 문제 삼을 수 있을까?

시·군·구 의회가 법령에 어긋나는 조례를 만들었을 때, 중앙정부 장관(주무부장관)이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시·도지사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판단했고, 일부 대법관은 중앙정부 장관도 제소할 수 있어야 한다는 반대 의견을 냈습니다.

#시군구 조례 제소권#시도지사#주무부장관#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