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을 불법으로 증축하거나 아예 허가 없이 지었다가 철거 명령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건물을 회사에 넘기면 철거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답은 "아니오"입니다.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기존 건물에 불법 증축을 하거나, 아예 허가 없이 새 건물을 지었습니다. 이에 관할 구청은 건축법 위반을 이유로 철거 명령을 내렸습니다. 원고는 이 건물들을 회사에 출자했고, 이제 건물의 처분권은 회사에 있다며 철거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불법 건축물이 도시 미관을 해치거나 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이번 판결은 다음과 같은 법 조항과 판례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결론
불법 건축물은 소유권을 넘기더라도 철거 의무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건축법을 준수하여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행정판례
무허가 건축물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는 철거 대상이 명확해야 하지만, 계고서 자체가 아니라 다른 서류 등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면 유효합니다. 또한, 부부 공동명의 건물의 무허가 증축 부분에 대해서는 남편에게만 철거 명령을 내려도 적법합니다.
일반행정판례
허가 없이 증축한 가건물은 철거가 용이하고 도시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으며, 시정명령에 불응했을 경우 철거 대집행 계고처분은 적법하다.
일반행정판례
관할 관청의 건축 중지 명령을 무시하고 건축한 불법 건축물은, 설령 도시 미관이나 위생상 좋아졌다고 하더라도 철거해야 한다는 판결.
일반행정판례
건물의 미관 개선이나 철거 비용의 많고 적음과 관계없이 무허가 건축물은 철거해야 하며, 충분한 자진 철거 기회를 주었다면 대집행은 정당합니다. 또한, 철거 대상은 이전 통지 내용 등을 종합하여 특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허가 없이 증축한 부분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건물에 대한 철거 명령은, 비록 개인에게 손해를 끼치더라도 건축행정의 원활한 수행과 불법 건축 예방이라는 공익이 더 크기 때문에 정당하다.
일반행정판례
건물 소유자가 건축허가 없이 불법 증축한 건물을 알고도 매수한 경우, 관청의 철거 명령은 정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