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05.10

민사판례

빚 갚아야 할 재산 빼돌리면 불법행위? 제3자도 책임져야 할까?

돈을 빌려주고 못 받는 상황, 정말 답답하죠. 특히 돈 빌려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서 받을 길이 막막해진다면 더욱 억울할 겁니다. 이런 경우, 재산을 빼돌리는 데 관여한 제3자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채무자의 재산을 빼돌려 채권자에게 피해를 준 제3자의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회사는 B회사에 돈을 빌려줬지만, B회사는 빚을 갚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B회사가 C회사와 짜고 매출채권을 C회사 명의로 돌리는 방식으로 A회사의 강제집행을 피하려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A회사는 C회사에게도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제3자가 채무자의 책임재산을 줄이는 행위를 하여 채권자가 돈을 받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어렵게 만든 경우,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하면 채권자에 대한 불법행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민법 제750조).

  • 제3자가 채권자의 존재와 채권 침해 사실을 알고 있을 것
  • 채무자와 적극적으로 공모하거나 채권 행사를 방해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것
  • 사회상규에 어긋나는 부정한 방법을 사용했을 것

이 사건에서 C회사는 A회사의 존재와 채권 침해 사실을 알면서 B회사와 공모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B회사의 재산을 줄였기 때문에 A회사에 대한 불법행위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손해배상 범위는 어떻게 될까?

다만, 법원은 손해배상 범위를 정할 때 채무자의 재산 상태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만약 채무자가 이미 많은 빚을 지고 있어서 제3자가 재산을 빼돌리지 않았더라도 채권자가 일정 금액 이상을 회수할 수 없었다면, 그 초과하는 금액은 제3자의 불법행위와 인과관계가 없다고 봅니다.

즉, C회사가 B회사의 재산을 빼돌리지 않았어도 B회사의 다른 빚 때문에 A회사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돈은 제한적이었다면, C회사는 그 제한적인 금액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때 채권 회수 가능성은 불법행위 시점을 기준으로 채무자의 재산과 빚을 비교하여 판단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5다25021 판결: 제3자가 채무자의 책임재산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함으로써 채권자로 하여금 채권의 실행과 만족을 불가능 내지 곤란하게 한 것이 채권자에 대한 불법행위를 구성하기 위한 요건

이 판례는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제3자의 책임 범위를 합리적으로 제한하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채권 침해 상황에서 제3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진 사람 재산 빼돌리기에 협조하면 나도 책임을 져야 할까? 제3자 채권침해와 불법행위 책임

빚진 사람(채무자)이 재산을 숨기려고 다른 사람(제3자)에게 명의만 맡기는 경우, 그 제3자가 채권자에게 불법행위 책임을 지려면 단순히 명의만 빌려준 것으로는 부족하고, 채권자에게 피해를 줄 것을 알면서 채무자와 함께 짜고 명의신탁을 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명의신탁#불법행위#채권자#채무자

민사판례

남의 빚 갚는데 내 돈 쓰라고? 제3자 채권침해와 손해배상

다른 사람(제3자)이 빚진 사람(채무자)의 재산을 숨겨서 채권자가 돈을 받지 못하게 했더라도, 채무자가 이미 많은 빚을 지고 있어서 제3자가 재산을 숨기지 않았더라도 채권자가 받을 수 있는 돈이 한정적이었다면, 제3자는 그 한정된 금액만큼만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채무자 재산 은닉#채권자 손해배상#손해배상 범위#인과관계

민사판례

빚 갚아야 할 재산 빼돌린 가족, 어떻게 책임 물을까?

빚진 사람(채무자)의 재산을 빼돌리기 위해 다른 사람(제3자)이 거짓으로 재산을 사들인 후 팔아버려 채권자가 돈을 받지 못하게 된 경우, 제3자는 채권자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채권자가 정확한 손해액을 입증하기 어렵더라도 법원은 적극적으로 나서서 손해액을 밝혀야 한다.

#채무자#재산 허위양도#채권자#손해배상

민사판례

남의 빚에 함부로 관여했다가 낭패 볼 수 있다? 제3자에 의한 채권침해

다른 사람의 빚을 갚아야 할 재산을 줄이는 행위에 제3자가 관여하여 채권자가 돈을 받기 어렵게 되었다면, 그 제3자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 단순히 재산 감소에 관여한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제3자가 채권자의 존재와 채권 침해 사실을 알면서 채무자와 짜고 재산을 줄였거나, 채권자의 돈 받는 것을 방해하려는 의도로 부정한 방법을 썼다는 등의 추가적인 요건이 필요합니다.

#채권자#채무자#제3자#재산감소

민사판례

남이 내 계약을 방해했어요!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경쟁 관계에 있는 A와 B가 있고, B가 C와 계약을 맺어 A의 기존 계약 이행을 어렵게 만들었다면, C의 행위가 불법행위인지, 그리고 C가 A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이 불법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A와의 계약 내용을 알면서 B와 계약을 맺었다는 것만으로는 불법행위가 성립하지 않으며, 소송 제기도 권리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써 원칙적으로 적법합니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불법행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경쟁적 계약관계#제3자 채권침해#소송 제기#불법행위 성립

민사판례

남의 물건 압류했다면? 배상 책임 범위 알아보기

채권자가 돈을 받기 위해 채무자의 재산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재산을 잘못 압류했을 경우, 처음에는 몰랐더라도 나중에 그 사실을 알게 되었거나 쉽게 알 수 있었는데도 압류를 풀지 않으면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채권자#압류오류#손해배상책임#타인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