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9.02.09

민사판례

빚 대신 부동산을 넘겨주기로 했는데, 등기 전이라면?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에게 돈 대신 부동산을 받기로 약속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대물변제라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빌려준 돈보다 부동산의 가치가 훨씬 높다면 어떨까요? 이런 경우 법에서는 민법 제607조와 608조에 따라 대물변제 약속 자체를 무효로 합니다. 채무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죠.

하지만 이 약속이 완전히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이러한 대물변제 약속을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로 해석합니다. 즉, 돈을 돌려받을 때까지 부동산을 담보로 잡아두는 것과 같은 효력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약속대로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하기 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에서 핵심적으로 다룬 내용입니다.

핵심은 등기 여부!

만약 등기 이라면 아직 양도담보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가등기담보등에관한법률 제3조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법은 담보를 실행하는 절차에 관한 법인데, 아직 담보 설정 자체가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죠.

그렇다면 채권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포기해야 할까요? 아닙니다! 채권자는 채무자에게 양도담보 약정을 이행하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즉, 약속대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민법 제372조 - 양도담보)

정리하자면,

  • 빚보다 부동산 가치가 높은 대물변제 약속은 무효이지만,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로 인정됩니다.
  • 등기 이라면 가등기담보등에관한법률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하지만 채권자는 채무자에게 약속대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민법 제372조, 제607조, 제608조, 가등기담보등에관한법률 제3조

참고 판례: 대법원 1989. 2. 28. 선고 88다카7801 판결

이번 판례는 대물변제와 양도담보의 관계, 그리고 등기 전후의 법적 효력 차이를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 등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 대신 부동산을 받기로 했는데, 이게 빚 갚는 건가요, 담보인가요?

빚과 관련하여 빚진 사람의 부동산 소유권을 빚 준 사람에게 넘겨주기로 약속했을 때, 그 약속이 빚 대신 물건으로 갚는 대물변제인지, 아니면 빚을 갚지 못할 경우를 대비한 담보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부동산 소유권 이전#대물변제#담보#양도담보

민사판례

땅 소유권 이전, 빚 갚은 걸까? 담보로 맡긴 걸까?

빚 때문에 채무자의 땅이 채권자 명의로 넘어갔을 때, 이것이 빚 대신 땅을 완전히 넘긴 것(대물변제)인지, 아니면 빚 담보로 땅을 맡긴 것(양도담보)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원심에서는 대물변제라고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여러 정황상 양도담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대물변제#양도담보#판단기준#

상담사례

빚 대신 집 줬는데… 괜찮을까요? (대물변제 이야기)

빚보다 비싼 재산으로 빚을 갚는 대물변제는 재산 소유권의 완전한 이전이므로, 가치 차이와 무관하게 법적으로 유효하다.

#대물변제#민법##재산

민사판례

빚 대신 부동산을 넘겨줬어요! 이건 담보가 아니에요!

돈을 빌린 사람이 빌린 돈 대신 다른 재산(예: 부동산)을 넘겨 빚을 갚는 것을 대물변제라고 하는데, 이는 단순한 빚 담보가 아니므로 넘긴 재산의 가치가 빚보다 크더라도 돌려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대물변제#담보#재산#채무

세무판례

빚 대신 부동산으로 갚았다면? 소유권 넘어간 날이 양도일!

빚 대신 부동산을 넘겨주는 대물변제의 경우, 실제로 등기가 완료된 날이 부동산 양도 시점으로 인정됩니다. 단순히 변제 약속만 한 날짜가 아닙니다.

#대물변제#양도시기#등기완료#양도소득세

민사판례

동서간 부동산 소유권 이전, 그 뒤에 숨겨진 진실은?

빚 때문에 부동산을 동서에게 넘겼다는 채무자. 하지만 채권자는 둘 사이에 실제 돈거래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소유권 이전 말소 소송을 제기. 대법원은 정황상 돈거래가 의심스럽다며, 등기는 정당하게 이뤄졌다는 추정을 뒤집고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

#부동산#소유권이전#대물변제#채권자대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