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09.04

민사판례

빚 때문에 골치 아픈 채권자, 내 돈 어떻게 받아낼까? - 사해행위 취소소송 이야기

돈을 빌려줬는데 빌린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서 받을 길이 막막해진 경험, 있으신가요? 이런 경우,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통해 빼돌린 재산을 되찾아올 수 있습니다. 오늘은 복잡한 사해행위 취소소송과 관련된 판결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례 소개:

원고는 소외 1에게 공사대금 3천만 원을 빌려주었지만, 소외 1은 돈을 갚지 않고 자신의 아내인 피고 1에게 부동산을 증여했습니다. 게다가 피고 1은 소외 1의 동서인 피고 2에게 해당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해주었습니다. 원고는 돈을 받기 위해 소외 1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 승소했지만, 소외 1에게는 이 부동산 외에 다른 재산이 없었기 때문에 돈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결국 원고는 피고 1과 피고 2를 상대로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

  • 소외 1의 부동산 증여와 피고 1의 근저당 설정이 사해행위인지 여부
  • 사해행위 취소 범위와 원상회복 방법
  • 가액배상액 산정 기준 시점
  • 채권자취소권 행사 가능 채권액

판결 내용:

  1. 사해행위 성립: 법원은 소외 1의 부동산 증여와 피고 1의 근저당 설정이 모두 채권자인 원고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2. 근저당권 말소 시 원상회복 방법: 이 사건의 핵심은 부동산에 설정된 근저당권이 사해행위 이후 말소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경우, 부동산 소유권 자체를 채무자에게 돌려주는 것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채권자는 부동산 가액에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액을 뺀 나머지 금액만큼만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민법 제406조)

  3. 가액배상: 채권자가 원상회복만을 요구하더라도 법원은 가액배상을 명령할 수 있습니다. 원상회복 청구에는 가액배상 청구도 포함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민법 제406조)

  4. 가액 산정 시점: 가액배상액은 '사실심 변론종결 시'를 기준으로 부동산 가액을 산정해야 합니다. 사해행위 이후 부동산을 취득한 사람도 변론종결 시의 부동산 가액에서 근저당권 금액을 뺀 금액을 한도로 배상해야 합니다. (민법 제406조)

  5. 채권자취소권 행사 범위: 채권자는 자신의 채권액을 초과하여 취소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이때 채권액에는 사해행위 이후 변론종결 시까지 발생한 이자나 지연손해금도 포함됩니다. (민법 제406조)

핵심 정리:

  •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렸다면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통해 되찾아올 수 있습니다.
  • 근저당권이 말소된 경우, 부동산 가액에서 근저당권 금액을 뺀 금액만큼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 배상액은 변론종결 시점의 부동산 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채권자는 자신의 채권액을 초과하여 취소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채권액에는 이자와 지연손해금도 포함됩니다.

참고: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률적 자문이 아닙니다.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법조항은 민법 제406조이며, 대법원 1996. 10. 29. 선고 96다23207 판결 등 다수의 판례가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에 시달리는 사람이 재산을 빼돌렸다면? 사해행위 취소 소송과 원상회복에 대해 알아보자!

빚 때문에 저당 잡힌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행위(사해행위)가 있었고, 이후 일부 저당이 해제되었을 경우, 채권자는 어떻게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

#사해행위#저당권#부동산#채권자취소권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재산 빼돌린 사람에게 돈 받아내는 방법! (사해행위 취소소송)

빚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빼돌리는 사해행위를 취소하는 소송에서, 소송 제기 기간, 배상 범위, 그리고 세입자의 보증금을 빼줘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사해행위#취소소송#제척기간#기산점

민사판례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렸을 때, 내 돈 받을 권리는 어디까지?

빚진 사람이 돈을 갚지 않기 위해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겼을 경우, 채권자는 그 행위를 취소하고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재산에 담보가 설정되어 있었다면, 돌려받을 수 있는 범위는 제한됩니다. 또한, 채권자가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에는 원금뿐 아니라 이자와 지연손해금도 포함됩니다.

#채권자취소권#사해행위#재산회복#담보권

상담사례

빚 안 갚고 집 판 얌체족! 내 돈 받아낼 방법은? 사해행위 취소소송 A to Z

채무자가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이미 근저당 설정된 집을 제3자에게 매도한 경우, 채권자는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통해 근저당 금액을 제외한 집값에 상응하는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사해행위 취소소송##채무자#재산 은닉

상담사례

빚 안 갚고 재산 빼돌린 사람, 나 말고 다른 채권자도 있다면? 사해행위취소소송, 배상은 어떻게 받을까?

채무자가 재산을 빼돌린 경우, 여러 채권자가 각각 사해행위취소소송을 통해 빼돌려진 재산 범위 내에서 채권액을 청구할 수 있으나, 실제 배상액은 채권자 수와 회수 가능한 재산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사해행위취소소송#채권자#배상#공탁

민사판례

사해행위 취소 소송, 이미 문제 해결됐다면?

빚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빼돌리는 행위(사해행위)를 취소해달라는 소송이 진행 중인데, 소송 중에 빼돌린 재산이 다시 원래 주인에게 돌아오면 소송을 계속할 필요가 없다는 판례입니다.

#사해행위취소소송#사해행위해소#소각하#원상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