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사업을 하다 보면 자금난에 부딪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사업을 포기하지 않고 진행하기 위해 신탁 회사에 맡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신탁 행위가 빚을 갚지 않기 위한 꼼수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과연 어떤 경우에 사해행위로 판단될까요? 오늘은 건축 사업 자금난 속 신탁과 사해행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한 건설회사가 아파트와 상가를 짓는 사업을 진행하다 자금난에 빠졌습니다. 아파트는 분양이 잘 되었지만 상가는 그렇지 못했고, 공사는 45.8% 정도 진행된 상태였습니다. 빚은 쌓여가고 공사는 중단될 위기에 처하자, 건설회사는 신탁회사와 계약을 맺고 토지와 건물의 소유권을 넘겨 사업을 이어가도록 했습니다. 이에 공사대금을 받지 못한 하도급 업체들이 건설회사의 신탁 계약이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이 사건에서 건설회사의 신탁 계약이 사해행위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핵심 정리: 자금난에 처한 건설회사가 신탁을 통해 사업을 지속하는 것이 항상 사해행위는 아닙니다. 법원은 신탁의 목적, 채무자의 변제 노력, 채권자의 태도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해행위 여부를 판단합니다. 단순히 재산의 소유권이 이전되었다고 해서 사해행위로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민사판례
빚이 많은 사업자가 사업 유지를 위해 새로 돈을 빌리면서 기존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신탁 포함)한 경우, 이것이 사해행위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기존 빚 갚기 위해 새 빚을 얻어 담보를 제공했다면 사해행위로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민사판례
빚이 많은 회사가 사업을 계속하기 위해 특정 채권자에게 부동산을 신탁하고 돈을 빌린 경우, 이것이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는데, 대법원은 사해행위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민사판례
돈이 부족해서 사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회사가 사업을 유지하고 빚을 갚기 위해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신탁해서 새로운 자금을 융통받은 경우, 이를 다른 채권자를 해하려는 사해행위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빚이 많은 사람이 사업 유지를 위해 새로 돈을 빌리면서 기존 채권자들에게 돌아갈 재산을 새 채권자에게 담보로 제공한 경우, 사업 계속이 빚 갚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했다면 사해행위가 아닐 수 있다는 판결.
민사판례
빚이 재산보다 많은 상황에서 사업을 계속하기 위해 특정 채권자에게 담보를 제공한 경우, 이것이 다른 채권자들을 해하는 사해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사업 유지를 위해 불가피하게 담보를 제공하고 신규 자금이나 물품을 확보한 경우에는 사해행위로 보지 않았습니다. 단, 사업 유지와 무관한 기존 채무까지 담보에 포함된 경우에는 그 부분에 한해 사해행위로 볼 여지가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민사판례
자금난에 빠진 회사가 사업 유지를 위해 특정 채권자에게 담보를 제공하고 추가 자금을 융통받은 경우, 이것이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