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10.26

민사판례

빚 보증 섰는데, 채무자가 재산을 팔아버렸어요! 사해행위일까요?

친구나 가족이 사업자금이 필요하다고 해서 보증을 서줬는데, 갑자기 그 친구가 자기 재산을 팔아버렸다면? 보증금을 떼일까 봐 걱정되시죠? 이런 경우, 채무자의 재산 처분을 사해행위로 보고 취소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례 소개

A씨는 B회사의 빚 보증을 섰습니다. 그런데 B회사가 빚을 갚지 못하게 되자, A씨는 보증인으로서 B회사 대신 빚을 갚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그런데 B회사는 A씨가 보증을 서 주기 전에 이미 가지고 있던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렸습니다. A씨는 B회사가 재산을 빼돌려 자신에게 피해를 주려고 고의로 그런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웠습니다. A씨는 B회사의 부동산 매매를 사해행위로 보고 취소할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씨가 B회사로부터 다른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받았고, 그 부동산의 가치와 근저당권의 채권최고액이 B회사의 빚보다 크다면, B회사의 부동산 매매가 A씨에게 손해를 끼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A씨는 근저당권을 통해 빚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B회사의 부동산 매매는 사해행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만약 A씨가 확보한 근저당권의 가치가 B회사 빚보다 적다면, 그 차액에 대해서만 사해행위 취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즉, 담보로 잡은 부동산에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빚에 대해서만 B회사의 재산 처분을 문제 삼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했더라도, 채권자가 다른 담보를 통해 빚을 전부 회수할 수 있다면 사해행위가 아닙니다.
  • 담보 가치가 빚보다 적다면, 그 차액에 대해서만 사해행위 취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사해행위 여부를 판단할 때는 재산 처분 당시뿐 아니라, 소송 진행 중 변론이 끝나는 시점까지의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송 진행 중에 채권자가 다른 담보를 확보했다면, 그 시점을 기준으로 사해행위 여부를 다시 판단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406조 제1항 (채권자취소권) 채권자는 자기의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를 한 때에는 그 취소 및 원상회복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법률행위가 재산권 이외의 것을 목적으로 한 경우에는 채무자의 악의가 있어야 한다.
  • 대법원 2000. 12. 8. 선고 2000다21017 판결
  • 대법원 2002. 11. 8. 선고 2002다41589 판결
  • 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7다63102 판결
  • 대법원 2014. 7. 10. 선고 2013다50763 판결

주의: 이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률 자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 담보로 잡힌 재산, 팔았다고 다 사해행위일까?

빚을 갚지 못할 위험에 처한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을 처분했을 때, 그 행위가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과 공동담보, 물상보증인 관련 법리를 다룬 판례입니다. 특히 담보가 설정된 부동산의 가치가 빚보다 적다면, 그 부동산 처분은 사해행위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사해행위#담보권#부동산 처분#담보가치

민사판례

빚 보증 때문에 부모님 집을 받았는데, 사해행위일까요? (채권자취소권과 담보 제공)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돈을 못 받을까 봐 채무자의 재산 처분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걸었는데, 나중에 채무자가 다른 재산을 담보로 제공해서 채권자가 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면,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은 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사해행위취소소송#담보#채권자#채무자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을 팔아버린 사람, 사기일까 아닐까?

빚진 사람(채무자)이 자기 재산을 함부로 팔아버려 빚을 갚을 재산이 줄어들면, 빚 받을 사람(채권자)에게 손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이런 행위를 '사해행위'라고 하는데, 이 판례는 사해행위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과, 재산을 사들인 사람(수익자)이 채무자의 의도를 알고 있었는지(악의) 또는 몰랐는지(선의)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수익자 선의#악의

상담사례

아빠가 나에게 준 집, 뺏길 수도 있다고? (사해행위 취소소송)

부모가 빚이 있거나 빚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면 사해행위로 판단되어 자녀는 증여받은 재산을 뺏길 수 있다.

#사해행위 취소소송#증여#채권#재산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재산 넘겼는데, 사해행위라고?

빚을 진 사람이 가진 재산을 특정 채권자에게만 갚는 대신 넘겨주는 행위(대물변제)가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특정 채권자에게 재산을 넘겨줬다고 해서 무조건 사해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대물변제#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무자력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빼돌리면 안 돼요! 채권자 보호를 위한 사해행위 취소

빚진 사람이 자기 재산을 줄여서 다른 채권자들이 돈을 받기 어렵게 만드는 행위(사해행위)에 대한 판단 기준과, 빚진 사람의 재산에 대한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채권자가 사해행위로 취소된 채권이라도 배당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압류#추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