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어려워져서 빚을 갚기 힘든 상황인데, 새로운 돈을 빌리면서 기존 재산을 담보로 제공한 경우, 기존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행위로 볼 수 있을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한다면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어떤 경우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어려움에 처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피하고 사업을 계속하기 위해 새로운 자금을 빌리면서 담보를 제공했습니다. 이후 저축은행이 파산하게 되자, 파산관재인은 담보 제공 행위가 기존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친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쉽게 말해, 새로 빌린 돈 때문에 기존 채권자들이 받을 돈이 줄어들었다는 주장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저축은행의 담보 제공 행위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법원은 위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했기 때문에 담보 제공 행위가 기존 채권자들을 해하는 행위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91조 (파산채권자를 해하는 행위의 부인)에 따라 해당 행위를 취소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핵심 정리
회사가 어려운 상황에서 새로운 자금을 빌리면서 담보를 제공하는 행위는 기존 채권자들에게 불리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자금 수혈과 담보 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빌린 돈과 담보 가치가 적절하며, 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등 정당한 목적이 있다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민사판례
빚이 많은 사람이 돈을 빌려 부동산을 사고, 그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한 행위는 원칙적으로 사해행위가 아니다.
민사판례
자금난에 빠진 회사가 사업 유지를 위해 특정 채권자에게 담보를 제공하고 추가 자금을 융통받은 경우, 이것이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민사판례
빚이 재산보다 많은 상황에서 사업을 계속하기 위해 특정 채권자에게 담보를 제공한 경우, 이것이 다른 채권자들을 해하는 사해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사업 유지를 위해 불가피하게 담보를 제공하고 신규 자금이나 물품을 확보한 경우에는 사해행위로 보지 않았습니다. 단, 사업 유지와 무관한 기존 채무까지 담보에 포함된 경우에는 그 부분에 한해 사해행위로 볼 여지가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민사판례
빚이 많은 사람이 돈을 빌려 부동산을 사고, 그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한 경우, 기존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지 않았다면 사해행위가 아니다.
민사판례
빚 때문에 힘든 사람이 돈을 빌려 부동산을 사고, 그 부동산으로 새 사업을 해서 빚을 갚으려 할 때, 돈 빌려준 사람에게 그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것은 보통 사해행위가 아닙니다. 하지만 새 사업과 관계없는 빚까지 담보에 포함시켰다면 그 부분은 사해행위일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빚이 많은 회사가 사업을 계속하기 위해 특정 채권자에게 부동산을 신탁하고 돈을 빌린 경우, 이것이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는데, 대법원은 사해행위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