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을 하다가 사람을 치게 되면 당황스럽고 무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죄의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사고 후 목격자인 척 행동했지만 결국 뺑소니로 처벌받은 사례를 통해 뺑소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드리고자 합니다.
사건의 개요
한 운전자가 술에 취해 길에 쓰러져 있던 사람을 차로 치었습니다. 사고 직후 운전자는 차에서 내려 자신은 단순 목격자라고 주장하며, 다른 사람에게 119 신고를 부탁했습니다. 구급차가 도착해 피해자가 병원으로 이송되는 동안 현장에 남아있었지만, 피해자를 돕거나 병원에 동행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경찰 조사에서도 목격자로 진술하며 자신의 신분을 숨기려 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운전자의 행위를 **뺑소니(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3 제1항 위반)**로 판단했습니다. 단순히 사고 신고를 부탁하고 현장에 남아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는 피해자를 구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운전자는 피해자를 직접 돕거나 병원에 동행하는 등 적극적인 구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자신의 범행을 숨기려 했습니다. 자신의 신분을 밝혔더라도 뺑소니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관련 법조항
참고 판례
교훈
교통사고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자의 안전과 구호입니다. 사고를 일으켰다면 즉시 피해자를 돕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현장을 이탈하거나 신분을 숨기려는 시도는 더 큰 처벌을 받게 될 뿐입니다. 사고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그 이후의 행동은 우리의 책임입니다. 올바른 선택으로 더 큰 불행을 막고, 안전한 교통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데 동참해 주시길 바랍니다.
형사판례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가 피해자를 돕지 않고 목격자인 척 행동한 경우에도 '뺑소니(도주차량)'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교통사고를 낸 후 현장에 머물렀더라도 사고 사실을 부인하고 피해자 구호 없이 떠났다면 뺑소니(도주치상)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교통사고를 낸 사람이 피해자를 병원에 데려다주었더라도 자신의 인적 사항을 알리지 않고 떠나면 뺑소니(도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교통사고를 낸 후 피해자를 택시에 태워 병원에 보내고, 병원에 피해자 인적사항과 자신의 차량번호를 알려주었다면, 비록 경찰이나 피해자에게 직접 인적사항을 알려주지 않았더라도 '뺑소니'(정식 명칭: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도주치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결.
형사판례
교통사고를 낸 후 피해자와 함께 경찰서에 가다가 음주운전 적발이 두려워 피해자만 경찰서에 들여보내고 도망간 경우, 피해자의 부상 정도가 경미하고 피해자에게 인적사항을 알려주었더라도 뺑소니(도주차량)로 인정된다.
형사판례
음주운전 사고를 낸 후, 음주운전 사실을 숨기기 위해 잠시 현장을 이탈하여 술을 더 마시고 돌아왔더라도 '뺑소니'(도주차량)로 처벌된다. 피해자가 다친 사실을 알았으면서도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전에 현장을 벗어나면 도주로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