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09.11

민사판례

사기로 인한 합의 취소와 공무원 일실퇴직금 청구

교통사고 등으로 합의를 했는데, 상대방 보험사 직원의 말만 믿고 섣불리 합의했다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유족연금이나 퇴직금 등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듣고 합의하는 경우 더욱 억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기로 인한 합의 취소와 공무원의 일실퇴직금 청구에 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하여 여러분의 권리 보호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사기로 인한 합의, 취소할 수 있을까?

합의는 당사자 사이에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계약입니다. 일반적으로 합의 후에는 그 내용에 따르는 것이 원칙이고, 단순한 착오를 이유로 합의를 취소할 수는 없습니다(민법 제733조). 그러나 상대방의 사기로 인해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합의의 내용에 관한 착오가 있더라도 취소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110조, 제733조). 즉, 상대방의 거짓말 때문에 중요한 사실을 잘못 알고 합의했다면, 그 합의를 무효로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번 사례에서 보험사 직원은 유족들이 공무원연금법상 유족연금을 받을 자격이 없으므로 일실퇴직금을 지급할 필요가 없다고 거짓말을 했습니다. 유족들은 이 말을 믿고 합의를 했지만, 나중에 유족연금 수급 자격과 관계없이 일실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법원은 보험사 직원의 거짓말이 합의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으므로, 이 합의는 사기에 의한 것으로 취소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공무원도 일실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을까?

공무원은 일반 근로자와 달리 공무원연금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그렇다면 공무원이 사망한 경우에도 일실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공무원이라 하더라도 사고로 사망하여 퇴직금을 받지 못하게 된 경우, 가해자는 일실퇴직금을 배상해야 한다(민법 제393조, 제750조, 제763조)고 판시했습니다. 즉, 사고가 없었다면 받을 수 있었던 퇴직금 상당액을 손해배상으로 청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공무원연금법상 유족급여 수급 자격 유무는 일실퇴직금 청구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이번 사례에서도 유족들은 공무원연금법상 유족연금 수급권자가 아니었지만, 법원은 일실퇴직금 청구를 인정했습니다. 따라서 공무원이 사고로 사망한 경우에도 일실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사고로 인한 합의 과정에서 상대방의 거짓말이 있었다면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자신의 권리를 찾아야 합니다. 특히 공무원의 경우에도 일실퇴직금 청구가 가능하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교통사고 합의, 보험사 직원 말만 믿었다가 낭패?! 사기 당한 합의, 취소할 수 있을까요?

교통사고 합의 후 보험사 직원의 사기(고의적인 거짓말)가 있었음을 입증하면 합의를 취소하고 정당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교통사고#합의#보험사#사기

상담사례

교통사고 합의, 보험사 직원 말만 믿었다가 낭패?! 화해 취소 가능할까요?

교통사고 합의 후 보험사 직원의 거짓말(유족연금 수령 가능성 허위 설명)로 손해를 봤다면 사기에 의한 합의로 취소 가능성이 있다.

#교통사고#합의#화해#취소

민사판례

퇴직연금 받던 공무원, 사고로 사망하면 유족은 얼마나 보상받을까?

공무원 퇴직연금 수령자가 사고로 사망하면 유족은 손해배상과 유족연금을 모두 받게 됩니다. 이때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유족연금을 공제하는데, 그 공제 범위는 사망한 공무원의 기대여명까지만 받을 수 있는 유족연금액으로 제한됩니다. 유족이 그 이후에 받는 유족연금은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퇴직연금#유족연금#손해배상#공제범위

상담사례

정년 보장된 공무원, 사고로 사망하면 퇴직금은 어떻게 될까요?

정년 보장 공무원이 사고로 사망하면 유족은 가해자에게 정년까지 근무했을 경우 받았을 퇴직금에서 이미 받은 퇴직금을 제외한 일실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다.

#공무원#사망#퇴직금#일실퇴직금

민사판례

공무원 퇴직연금과 유족연금, 그리고 손해배상

공무원 퇴직연금을 받던 사람이 사고로 사망했을 때, 유족이 손해배상을 청구하면 사망으로 인해 받지 못하게 된 퇴직연금(일실퇴직연금)을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족이 유족연금도 받는다면, 이중으로 돈을 받는 것이 되므로 일실퇴직연금에서 유족연금을 빼고 계산해야 합니다. 유족 중 일부만 유족연금을 받더라도, 남은 금액은 모든 상속인이 법대로 나눠 상속합니다.

#공무원#퇴직연금#사망#손해배상

민사판례

공무원 유족보상금과 손해배상, 이중으로 받을 수 있을까?

공무원이 사고로 사망했을 때, 유족에게 지급되는 유족보상금과 가해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손해배상의 관계를 다룬 판례입니다. 유족보상금을 지급한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은 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지만, 그 범위는 유족보상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유족의 손해배상청구권으로 한정되며, 위자료 청구권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일실퇴직연금을 계산할 때 유족연금을 공제해야 합니다.

#공무원#유족보상금#손해배상#공무원연금관리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