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5.12.23

일반행정판례

사업 양도·양수와 행정처분의 무효확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업 양도·양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행정처분과 관련된 법률 이야기를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양도·양수 계약 자체가 문제가 있을 때, 행정기관의 승인 처분을 어떻게 다퉈야 하는지, 그리고 무효확인 소송과 취소 소송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진흥석산이라는 회사(원고)가 범진공영(피고 보조참가인)에게 골재채취 사업을 양도·양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리고 화성시(피고)에 지위승계 신고를 하여 수리 처분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진흥석산은 양도·양수 계약 자체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화성시의 수리 처분 역시 무효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1: 양도·양수 계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양도인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

진흥석산은 양도·양수 계약이 무효라고 주장하면서, 곧바로 화성시를 상대로 수리 처분의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런데, 계약의 무효는 민사소송으로 다툽야 하는 문제 아닐까요? 굳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업 양도·양수에 따른 지위승계 신고 수리는, 적법한 양도·양수가 있었음을 전제로 합니다. 따라서 양도·양수 계약 자체가 무효라면, 그에 따라 이루어진 수리 처분 역시 당연히 무효입니다. 따라서 양도인은 굳이 민사소송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행정소송으로 수리 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90. 10. 30. 선고 90누1649 판결, 1993. 6. 8. 선고 91누11544 판결 참조)

쟁점 2: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한 후 취소 소송을 추가할 경우, 제소기간은 어떻게 될까?

진흥석산은 처음에는 수리 처분의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지만, 나중에 취소 소송도 추가했습니다. 무효확인 소송과 취소 소송은 제소기간이 다를 수 있는데, 이 경우 어떤 기준으로 제소기간을 판단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무효확인 소송과 취소 소송은 같은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법률적 평가의 차이일 뿐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무효확인 소송에는 취소를 구하는 취지도 포함되어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따라서 무효확인 소송이 제소기간 내에 제기되었다면, 나중에 추가된 취소 소송도 적법하게 제기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76. 4. 27. 선고 75누251 판결, 1987. 4. 28. 선고 86누887 판결, 1994. 12. 23. 선고 94누477 판결 참조)

결론

이번 판례를 통해, 사업 양도·양수 과정에서 양도·양수 계약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양도인은 곧바로 행정기관의 수리 처분에 대해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무효확인 소송 제소기간 준수 시 추가된 취소 소송도 적법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판례는 사업 양도·양수와 관련된 분쟁 해결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참고 조문:

  • 행정소송법 제20조 (취소소송)
  • 행정소송법 제27조 (행정소송재판일반)
  • 행정소송법 제35조 (무효확인의 소)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아파트 건설 사업, 권리 양도양수와 사업승인 취소 사이의 법적 분쟁

주택건설사업을 양도받은 사람이 사업주체 변경 승인을 받기 전에 원래 사업자에 대한 사업 승인이 취소된 경우, 양수인도 그 취소 처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주택건설사업#양도#승인취소#양수인

일반행정판례

가스충전사업 양도, 승계, 그리고 행정처분

액화석유가스 충전사업의 양도양수 시, 관할 관청의 지위 승계 신고 수리 행위는 단순한 신고 접수가 아닌 행정처분에 해당하며, 양도자가 양도행위 자체의 무효를 다투지 않더라도 신고 수리 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 반면, 건축허가가 무효라도 이미 건축이 완료되고 준공검사까지 받았다면 허가 무효확인을 구할 이익은 없다.

#액화석유가스#지위승계#신고수리#행정처분

일반행정판례

사업시행기간과 토지수용, 그 쟁점들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자가 사업시행기간 내에 토지 수용재결을 신청했지만, 그 신청이 기각되었고, 이의신청 중 사업시행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이의재결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

#수용재결#사업시행기간#소송의 이익#토지수용위원회

민사판례

재건축조합 총회결의 무효확인 소송, 알고보니 행정소송!

재건축조합 총회 결의에 대한 무효확인 소송은 행정소송으로 진행해야 하며, 관할 행정청의 인가·고시 후에는 총회 결의 자체에 대한 소송이 아니라, 관리처분계획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재건축조합#총회결의#무효확인소송#행정소송

일반행정판례

행정처분의 당연무효 요건과 취소소송 제소기간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처분이 행정처분에 해당하는지, 해당 처분이 위법한 시행령에 근거했을 때 당연무효인지, 그리고 제소기간을 준수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해당 처분이 행정처분에 해당하며 위법한 시행령에 근거했더라도 당연무효는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고가 제소기간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하고 환송했습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참여제한#행정처분#당연무효

일반행정판례

제3자효 행정행위, 행정심판, 그리고 취소소송

제3자의 행정심판으로 인해 기존 행정 처분이 취소된 경우, 원래 처분의 대상이었던 사람도 취소된 재결 자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제3자 행정심판#처분 취소#원처분 대상자 소송#재결 취소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