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10.23

민사판례

상속 지분, 제대로 계산되었나요? 추가 상속에 대한 법원의 판단

돌아가신 분의 재산을 상속받는 과정에서, 생각지도 못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사례는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처음 상속이 이루어진 후, 공동상속인이 사망하면서 추가 상속이 발생했는데, 법원이 이 부분을 제대로 판단하지 않아 다시 재판을 하게 된 이야기입니다.

사건의 개요

망인 정험숭이 소유했던 부동산을 두고 상속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아들인 정오진 씨는 자신이 유일한 상속인이라고 생각했지만, 1심 법원은 어머니 김한옥 씨도 공동상속인이라는 점을 인정하여 정오진 씨에게 부동산의 절반(1/2)만 상속되었습니다.

하지만, 정오진 씨는 어머니 김한옥 씨가 사망하면서 그 지분 역시 자신이 상속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처음에는 아버지 재산의 절반만 상속받았지만, 어머니가 돌아가시면서 어머니가 상속받았던 나머지 절반도 자신에게 와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1심 법원은 정오진 씨의 추가 상속 주장을 제대로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정오진 씨는 항소했고, 2심 법원 역시 같은 판단을 내렸습니다. 결국 대법원까지 간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심(2심) 판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정오진 씨는 어머니의 사망과 그에 따른 추가 상속에 대한 증거를 제출했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상속 지분이 더 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은 원심이 이 주장에 대해 제대로 판단하지 않은 것이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원심 판결 중 정오진 씨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서울민사지방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환송)

핵심 포인트

  • 추가 상속: 상속인이 사망하면서 그 상속분에 대한 또 다른 상속이 발생하는 경우. 이 경우 상속 지분을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 판단 유탈: 법원이 판단해야 할 쟁점에 대해 판단하지 않는 것. 이러한 판단 유탈이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경우, 상소의 사유가 됩니다.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호)
  • 민사소송법 제193조 제2항: 법원은 변론 전체의 취지와 증거조사의 결과를 참작하여 자유로운 심증으로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조항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법원이 원고의 주장과 제출된 증거에 대한 충분한 심증 형성을 하지 않은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상속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상속 분쟁을 예방하고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률 및 절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돌아가신 배우자의 재산, 내 몫은 얼마일까? 상속재산 분할과 특별수익

이 판례는 부부 중 한 사람이 사망한 후, 유체동산(가구, 그림 등)이 누구 소유인지, 그리고 자녀나 배우자에게 생전에 준 재산을 상속재산 분할 시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원심에서 유체동산을 부부 공동 소유로 본 것을 뒤집고, 망인의 특유재산으로 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상속인의 배우자나 자녀에게 증여된 재산도 경우에 따라 상속분을 계산할 때 고려할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유체동산 소유#특별수익#상속재산분할#증여

생활법률

여러분, 유산 상속, 어떻게 나눠야 할까요? 🤔 공동상속 완전정복!

여러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재산을 공동으로 상속(공동상속)받으면 유산은 공유되며, 각 상속인은 자신의 상속분만큼 권리와 의무(빚 포함)를 지고, 다른 상속인 동의 없이 재산을 처분할 수 없으며, 지분 양도 시 다른 상속인이 우선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공동상속#공동상속인#유산#상속분

민사판례

상속지분 포기와 양도, 그 차이를 아시나요?

상속받은 땅의 지분을 포기한 것인지, 특정인에게 양도한 것인지 명확히 판단하지 않고, 두 가지의 법적 효과가 같은 것처럼 처리하여 잘못된 판결을 내린 원심을 파기한 사례입니다.

#상속지분#포기#양도#법률효과

세무판례

상속재산 협의분할, 증여인가 아닌 상속이다!

상속인들끼리 상속재산을 나눌 때, 원래 받아야 할 몫보다 더 많이 받았다고 해도 그 초과분을 증여로 보지 않고 상속으로 본다는 판결입니다.

#상속재산#협의분할#초과취득#상속

민사판례

증여받았다는 주장과 상속받았다는 주장, 둘 다 할 수 있을까?

한 사람이 돌아가신 분으로부터 부동산을 증여받았다고 주장하며 소유권 이전을 요구하는 동시에, 만약 증여가 인정되지 않으면 상속인 자격으로 해당 부동산의 일부를 상속받았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 그리고 상속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친자 관계 확인 소송을 먼저 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증여와 상속 주장이 서로 다른 법적 근거를 가지지만, 궁극적으로 같은 부동산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이므로 별개의 소송으로 다룰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상속을 주장하기 위해 친자 관계 확인을 먼저 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증여#상속#부동산 소유권 분쟁#친자관계 확인 소송

상담사례

남편의 갑작스러운 사망, 상속은 어떻게 될까요?

남편 사망 시 유언이 없다면 배우자는 1/3, 자녀 3명은 각각 2/9씩 상속받지만, 생전 증여나 특별기여가 있었다면 상속분이 달라질 수 있다.

#상속#배우자 사망#법정상속분#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