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6.24

세무판례

상속세 납부, 제대로 알고 대비하자!

상속, 생각만 해도 머리 아픈 일이죠? 특히 상속세 문제는 더욱 그렇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와 절차 때문에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지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상속세 관련 최근 대법원 판결을 바탕으로 몇 가지 핵심 내용을 쉽게 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납세고지서, 한 명에게만 보내도 효력은 모두에게?

여러 명이 공동으로 상속받는 경우, 상속세 납세고지서를 대표 상속인 한 사람에게만 보냈다고 해서 다른 상속인들에게 효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대법원은 납세고지서에 'A 외 7인'과 같이 납세의무자를 기재하고, 상속인들의 이름과 상속지분 등이 적힌 명세서를 첨부하여 대표 상속인에게만 송달했다면, 이는 다른 상속인들에게도 효력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2000. 11. 28. 선고 99두3089 판결) 또한, 납세고지서에 각 상속인이 부담할 세액을 따로 기재하지 않았더라도, 이는 상속세 부과처분을 무효로 만들 만큼 중대한 하자는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2. 증액 경정, 이전 잘못까지 책임져야 할까?

세무서에서 상속세를 처음 부과한 후, 나중에 세액을 증액하는 '증액경정처분'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처음 부과처분에 절차상 하자가 있었다면, 증액된 부분에도 그 하자가 자동으로 이어지는 걸까요? 대법원은 그렇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당초 처분은 증액경정처분에 흡수되어 소멸하기 때문에, 이전의 절차상 하자는 새 처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대법원 2006. 8. 24. 선고 2004두3625 판결)

3. 과세 제척기간, 판결 후 1년 안에 무엇이든 할 수 있을까?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기간을 '과세 제척기간'이라고 합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원칙적으로 세금을 부과할 수 없지만, 예외적으로 판결 확정일로부터 1년 이내에는 후속 조치가 가능합니다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2항). 그렇다고 해서 이 기간 안에 아무 처분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법원은 이 규정이 과세 제척기간 이후에도 판결 내용에 따른 후속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판결 내용과 다른 새로운 결정이나 증액 경정 처분은 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94. 8. 26. 선고 94다3667 판결, 대법원 2005. 2. 25. 선고 2004두11459 판결)

4. 판결 후 1년, 누구에게까지 영향을 미칠까?

과세 제척기간 이후 판결에 따른 후속 조치는 누구에게까지 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판결의 효력이 미치는 당사자에게만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해당 판결을 받은 사람 중 판결이 취소하거나 변경하는 과세 처분의 효력이 미치는 납세의무자에게만 후속 경정 처분을 할 수 있습니다. 판결과 관련 없는 제3자에게는 이 규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대법원 1996. 9. 24. 선고 96누68 판결, 대법원 2006. 2. 9. 선고 2005두1688 판결)

5. 상속재산 평가, 언제 시점의 공시지가를 적용해야 할까?

상속받은 땅값을 계산할 때, 상속 시점 이후에 고시된 개별공시지가를 적용해도 될까요? 대법원은 상속 시점에 당해 연도의 공시지가가 나오지 않았더라도, 이후 고시된 당해 연도의 공시지가가 상속 시점 토지 현황을 더 잘 반영한다면 이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96. 8. 23. 선고 96누4411 판결, 대법원 2000. 2. 11. 선고 98두16774 판결)

상속세, 복잡하지만 제대로 알고 대비하면 어려움 없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꼼꼼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세 고지, 어디까지 유효할까?

상속세 고지서에 상속인별 납부 세액이 명시되지 않았더라도, 고지서 자체가 부과처분의 효력을 가지며, 추후 절차적 하자를 보완하여 다시 부과하더라도 유효하다.

#상속세#부과처분#효력#절차적 하자

민사판례

상속세 납부, 제대로 알고 내야 돌려받을 수 있다!

옛날 상속세법에서는 상속인 모두에게 개별적으로 세금 고지서를 보내지 않고 대표 상속인 한 명에게만 "누구 외 몇 명" 형식으로 고지서를 보내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 판례는 이런 고지 방식은 잘못되었고, 고지서를 받지 못한 상속인에게는 세금을 부과한 효력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상속인들이 함께 세금을 납부했더라도 각자의 상속 지분 비율대로 납부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상속세#납세고지#공동상속인#대표상속인

세무판례

상속세,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3가지 포인트!

여러 명이 함께 상속받는 경우, 상속세를 다시 계산하는 경정처분이 세금을 더 내게 하는 것인지 덜 내게 하는 것인지는 상속인 각자에게 고지된 세금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 법에 정해진 특정 유형 이외의 허위 신고는 상속세 부과제척기간 연장 사유가 될 수 없다는 내용, 그리고 법원 판결 이후 세무서가 세금을 다시 계산할 때는 판결의 영향을 받는 상속인에게만 적용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판결입니다.

#상속세#경정처분#부과제척기간#가산금

세무판례

상속세 증액경정과 제척기간, 그리고 공동상속인의 세금 계산은 어떻게?

상속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증액경정처분이 법정 기한(제척기간) 이후에 이루어진 경우 그 효력과, 공동상속인이 있을 때 증액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상속세#증액경정처분#제척기간#공동상속인

세무판례

상속세 분쟁, 핵심 쟁점 3가지 완벽 정리!

여러 명이 공동으로 상속받은 경우, 상속세가 증액되었는지 여부는 각 상속인에게 고지된 세액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며, 증액된 경우에는 증액된 처분만 이의제기 대상이 됩니다. 또한, 납세고지서에 세금 계산 근거 등 필수 정보가 빠지거나 납부기한이 잘못 기재되면 그 처분은 위법합니다.

#상속세#증액경정처분#납세고지서#하자

세무판례

상속세, 어디까지 알고 있니? 상속세에 대한 4가지 핵심 정리!

여러 상속인이 있을 때 상속세 고지 방법, 상속재산 계산 범위, 연부연납 허가 및 가산세 부과에 대한 판결입니다.

#상속세#연부연납#고지#상속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