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2.13

세무판례

상속세 증액경정과 제척기간, 그리고 공동상속인의 세금 계산은 어떻게?

상속세는 재산을 물려받을 때 내는 세금인데, 세금 계산이 복잡해서 종종 세무서와 납세자 간의 분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상속세와 관련된 두 가지 중요한 판례 내용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제척기간 이후 증액된 상속세는 어떻게 될까?

세무서가 세금을 더 내라고 하는 것을 증액경정처분이라고 합니다. 이 처분은 기존 세금과 추가 세금을 합쳐서 새로운 세금으로 확정하는 효력을 갖습니다. 즉, 원래 세금에 문제가 있더라도 새로운 세금을 기준으로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

그러나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기간(제척기간)이 지난 후에 증액경정이 이루어진다면 어떨까요? 이 경우, 추가된 세금만 무효가 됩니다. 제척기간 내에 결정된 원래 세금은 그대로 유효합니다. 즉, 제척기간 이후라는 이유로 원래 세금의 정당성에 대해 다시 다툴 수는 없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87. 12. 22. 선고 85누599 판결, 대법원 1995. 5. 23. 선고 94누15189 판결 등)

2. 공동상속인의 상속세, 각자 얼마나 내야 할까?

여러 명이 함께 상속받는 경우(공동상속), 상속세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세무서는 보통 전체 상속세와 각 상속인이 내야 할 세금을 따로 계산해서 알려줍니다. 이때 각 상속인에게 고지된 세금이 중요합니다. 전체 상속세가 줄어들었더라도, 개별적으로 고지된 세금이 늘어났다면 증액경정으로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총 상속세는 1억에서 9천만 원으로 줄었지만, A씨에게 고지된 세금은 10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늘었다면, A씨 입장에서는 증액경정이 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제척기간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6. 9. 24. 선고 96누68 판결, 대법원 2001. 2. 9. 선고 2000두291 판결 등)

관련 법 조항:

  •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45조의2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 구 상속세법 제25조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76조 참조)
  • 구 국세징수법제9조
  • 구 상속세법 제18조 제1항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3조 제1항 참조), 제25조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76조 참조), 제25조의2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77조 참조)
  • 구 상속세법시행령 제19조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시행령 제79조 참조)

상속세는 복잡한 세금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이 상속세와 관련된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세,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3가지 포인트!

여러 명이 함께 상속받는 경우, 상속세를 다시 계산하는 경정처분이 세금을 더 내게 하는 것인지 덜 내게 하는 것인지는 상속인 각자에게 고지된 세금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 법에 정해진 특정 유형 이외의 허위 신고는 상속세 부과제척기간 연장 사유가 될 수 없다는 내용, 그리고 법원 판결 이후 세무서가 세금을 다시 계산할 때는 판결의 영향을 받는 상속인에게만 적용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판결입니다.

#상속세#경정처분#부과제척기간#가산금

세무판례

상속세 납부, 제대로 알고 대비하자!

이 판례는 상속세 부과처분의 효력 범위, 절차적 하자의 영향, 과세제척기간의 적용, 상속재산 평가 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법적 쟁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상속세#부과처분#효력#절차적하자

세무판례

상속세 분쟁, 핵심 쟁점 3가지 완벽 정리!

여러 명이 공동으로 상속받은 경우, 상속세가 증액되었는지 여부는 각 상속인에게 고지된 세액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며, 증액된 경우에는 증액된 처분만 이의제기 대상이 됩니다. 또한, 납세고지서에 세금 계산 근거 등 필수 정보가 빠지거나 납부기한이 잘못 기재되면 그 처분은 위법합니다.

#상속세#증액경정처분#납세고지서#하자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이 판례는 상속세 부과 및 징수의 적법한 절차, 연부연납 신청과 과세처분의 관계, 상속재산 처분대금의 범위, 그리고 용도가 불명확한 금액의 판단 기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매매 계약금 및 중도금도 상속재산 처분대금에 포함되며, 용도 불명확 금액 판단은 재산 종류별로 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상속세#부과징수#연부연납#상속재산처분대금

세무판례

상속세 납부, 여러 명이면 어떻게 될까? 그리고 세금 부과의 시효는?

여러 상속인에게 상속세를 부과할 때, 각 상속인에게 부과될 세액을 명확히 밝혀야 하며, 과세 제척기간 이후에는 판결 결과에 따른 정정만 가능하고 새로운 세금 부과는 불가능하다.

#상속세#부과방식#과세제척기간#판결효력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생각보다 복잡하네? 핵심 쟁점 5가지 완벽 정리!

이 판결은 상속세 부과와 관련하여, 세무서의 경정처분 가능성, 신고세액공제 계산 방법, 상속재산에 포함되는 항목, 그리고 예금 인출금의 상속재산 포함 여부 등에 대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상속세 신고 시 누락된 증여재산에 대한 증여세는 신고세액공제에서 고려되지 않으며, 소송 중인 권리도 상속재산에 포함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상속세#경정처분#신고세액공제#상속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