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조 서비스 가입하신 분들, 내 정보가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궁금하시죠?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 상조회사가 회원 정보를 제대로 알려야 할 의무가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사건의 개요
한 상조회사가 선수금 보전을 위해 은행에 자료를 제출하면서 일부 회원들의 정보를 누락했습니다. 이에 검찰은 해당 상조회사와 대표를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1심과 2심에서는 해당 상조회사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것과 '거짓으로 제출한' 것은 다르다고 보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를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상조회사는 회원 정보를 사실대로 고지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부 회원 정보를 누락한 채 선수금 자료를 제출한 것은 사실과 다른 자료를 제출한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죠. 이는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에서 금지하는 '거짓 자료 제출'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핵심 포인트
관련 법조항
참고 판례
상조 서비스 가입을 고려하시는 분들은 이번 판결을 꼭 기억하시고, 내 권리가 제대로 보호받을 수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민사판례
상조회사가 사업 전체를 다른 회사에 넘기는 경우, 새 회사는 기존 소비자와의 상조 계약 내용을 그대로 이어받아야 합니다. 회사끼리 계약 내용 승계를 거부하는 약속을 하더라도 소비자 보호를 위해 법적으로 무효입니다.
상담사례
상조회사가 폐업 후 영업양도해도 소비자는 새 회사에 해지환급금을 청구할 권리가 있다.
상담사례
상조 서비스 가입 후 서비스를 받기 전이라면, 회사 약관과 관계없이 계약 해지 및 납입금 전액 환불을 법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일반행정판례
상조회사가 "회사 폐업 여부와 상관없이 장례 행사를 보장한다"고 광고한 것은 허위·과장 광고로 인정되어 시정명령과 과징금 처분을 받았습니다. 대법원은 소비자가 광고를 보고 실제로 제공되는 서비스보다 더 많은 보장을 받는다고 오해할 수 있다면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상담사례
상조회사가 임의로 해약을 제한하거나 과도한 위약금을 공제하는 약관은 무효이므로, 소비자는 정당한 해약 및 환급금을 요구할 수 있다.
생활법률
신용정보법과 금융실명법에 따라 신용정보회사는 개인신용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누설 시 엄중한 처벌을 받으며, 소비자는 신용정보 이용·제공 내역 확인 및 거래 거절 사유를 요구할 권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