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08.18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누구의 브랜드일까요?

오늘은 해외 브랜드의 상표권 분쟁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탈리아의 유명 패션 회사 A사가 국내 회사 B사를 상대로 상표등록 무효심판을 청구한 사건인데요, A사는 B사가 자사의 '○○', '○○' 브랜드(이하 선사용상표)를 모방하여 '○○' 상표를 등록하고 부정하게 사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A사는 오랫동안 'BLUMARINE'이라는 브랜드로 고급 여성 의류를 판매해 왔고, 1995년경부터는 젊은층을 타겟으로 '○○', '○○' 브랜드를 런칭하여 'BLUMARINE'과 함께 판매해 왔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내 매장, 인터넷 쇼핑몰 뿐 아니라 Vogue, Bazaar, Elle 등 유명 패션잡지에도 광고를 게재하며 활발하게 브랜드를 홍보해왔죠. '○○' 브랜드는 전 세계 50여 개국에 상표등록까지 되어 있었다고 하네요.

A사는 이러한 활동들을 근거로, '○○', '○○' 브랜드가 이미 이탈리아 소비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져 있었고, B사가 상표를 등록할 당시(2003년 3월 19일)에도 충분히 인지도가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B사가 A사의 명성에 편승하여 부당하게 이득을 취하려 했다는 것이죠.

하지만, 1심과 2심 법원은 A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A사의 선사용상표가 한국에서 등록상표 출원 시점에 이탈리아에서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었죠.

그러나 대법원은 다른 판단을 내렸습니다. A사가 제시한 증거들, 즉 7년간의 매출액, 매장 수, 광고 내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선사용상표들이 이탈리아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입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이 사건은 구 상표법(2007. 1. 3. 법률 제81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1항 제12호, 즉 "국내 또는 외국의 수요자간에 특정인의 상품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는 상표"에 대한 해석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선사용 상표의 인지도 판단에 있어서 매출액, 광고, 판매 기간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 판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선사용상표의 인지도, 상표권 분쟁의 핵심으로 떠오르다!

유명 의류 브랜드 'BLUMARINE'의 세컨드 브랜드 (가격대를 낮춘 브랜드) 상표를 다른 회사가 먼저 등록한 것에 대해 원래 브랜드 회사가 상표등록 무효 심판을 청구했으나, 원심에서 패소한 사례. 대법원은 원심 판결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여 파기환송했습니다.

#세컨드브랜드#상표권 분쟁#BLUMARINE#Blugirl

특허판례

골프웨어 상표, 누구 것일까? - 상표권 분쟁 이야기

이미 널리 알려진 골프의류 브랜드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다른 업체가 안경 등에 등록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유명 골프의류 브랜드의 상표가 일반 수요자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있었다고 판단하여,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특허법원에 돌려보냈습니다.

#골프의류#상표법 위반#판결 파기 환송#상표 인지도

특허판례

골프웨어 상표, 누구 것일까? - 선사용상표의 인지도 판단

유명 골프의류 브랜드 A사가 오래전부터 사용해온 상표(로고)와 유사한 상표를 B사가 안경 등에 등록하자 A사가 무효심판을 청구했고, 대법원은 A사의 상표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골프의류#상표#선사용권#등록무효심판

특허판례

먼저 사용하던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등록받을 수 있을까요?

'마담포라'라는 의류 브랜드를 오랫동안 사용해 온 회사가 '포라리'라는 상표를 핸드백 등에 등록한 것에 대해, 소비자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며 등록 무효 심판을 청구하여 승소한 사건. 비록 '마담포라'가 아주 유명한 상표는 아니더라도, 관련 업계와 일부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있었고, 의류와 핸드백은 서로 연관성이 높은 상품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두 브랜드를 같은 회사 제품으로 오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판결의 핵심.

#유사상표#등록무효#마담포라#포라리

특허판례

해외 상표권자의 국내 상표 사용 인정?!

해외 상표권자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판매업자(통상사용권자)로부터 수입한 진품은, 상표권자의 직접적인 국내 유통 없이도 상표권 침해가 아니다.

#상표권#병행수입#진품#통상사용권

특허판례

외국 브랜드, 국내 수입만으로도 상표 사용 인정될까?

외국 기업이 자사 상표가 부착된 상품을 국내 수입업자를 통해 수입·판매한 경우, 해당 외국 기업이 국내에서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됨.

#외국상표#수입#국내상표사용#상표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