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6.25

특허판례

상표권 양도와 상표 사용에 관한 이야기

오늘은 상표권 양도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상표권을 양도할 때, 그 효력 발생 시점과 양수인의 사전 상표 사용에 대한 법적인 판단이 쟁점이 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 회사로부터 상표권을 포함한 영업 일체를 양도받았습니다. B 회사의 대표는 A 회사의 대표와 동일인이었습니다. A 회사는 상표권 이전등록 전에, 즉 상표권의 정식 소유자가 되기 전에 해당 상표를 사용했습니다. 이에 대해 상표권 취소 심판이 청구되었습니다.

쟁점

  • 상표권 양도의 효력 발생 시점: 영업 양도와 함께 이루어진 상표권 양도는 '상속 기타 일반 승계'에 해당하여 이전등록 전에 효력이 발생하는가? (구 상표법 제27조 제6항 관련)
  • 양수인의 사전 상표 사용: 상표권 이전등록 전 양수인의 상표 사용은 상표권자의 묵인 또는 사용 허가로 간주되어 상표권 취소 사유가 되는가? (구 상표법 제45조 제1항 제1호 관련)

법원의 판단

  • 상표권을 포함한 영업 일체를 양도하더라도, 이는 '상속 기타 일반 승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표권 이전의 효력은 이전등록 시점에 발생합니다. (구 상표법 제27조 제6항)
  • 상표권자가 자신의 회사에 상표권을 양도하고 이전등록 절차를 진행 중인 상황에서, 양수 회사가 이전등록 전에 상표를 사용했다고 해서 바로 상표권자의 묵인 또는 사용 허가로 볼 수는 없습니다. 상표권 취소를 위해서는 상표권자가 제3자의 상표 사용에 대한 감독 의무를 태만히 하여 소비자에게 혼동을 야기했는지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구 상표법 제45조 제1항 제1호)

결론

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로 환송했습니다. 상표권 양도의 효력은 이전등록 시점에 발생하며, 양수인의 사전 상표 사용이 상표권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 판례입니다.

관련 법조항

  • 구 상표법 (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7조 제6항
  • 구 상표법 (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 제1항 제1호, 제5호

이번 판례는 상표권 양도 및 사용에 관한 중요한 법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표권 관련 업무를 진행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법리와 판례를 참고하여 법적 분쟁을 예방하고 안전하게 상표권을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사해행위로 취소된 상표권 양도, 그 전의 상표 사용은 유효할까?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상표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등의 사해행위를 했더라도, 그 사해행위가 법원에서 취소되기 *전*에 상표권을 받은 사람이 상표를 사용했다면, 그 사용은 정당한 사용으로 인정된다.

#사해행위#상표권#양도#전용사용권

특허판례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으로! 상표권 양도와 사용시기 문제 해결!

개인사업자가 자신이 설립한 법인에 상표권을 양도하는 과정에서, 법인이 이전등록 전에 상표를 사용했더라도 곧바로 상표등록 취소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상표권#양도#법인전환#상표등록취소

특허판례

상표권 이전 후 사용권자의 상표 사용, 부정 사용일까?

상표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간 후, 새 상표권자로부터 사용 허락을 받은 사람이 기존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사용할 경우, 이를 상표의 부정 사용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상표권 이전 전 사용자의 상표와 혼동을 일으킬 정도로 유사하게 사용하는 경우 부정 사용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권 이전#사용권#부정사용#혼동

특허판례

상표권 취소, 언제 가능할까? 타인의 상표 사용에 대한 상표권자의 책임

상표권자가 타인의 유사 상표 사용을 단순히 묵인한 것만으로는 상표권 취소 사유가 되지 않으며, 법 개정으로 취소 사유가 삭제된 경우, 개정법 시행 이전에 해당 사유가 완성되어야만 취소 사유로 인정된다.

#상표권#묵인#취소#허락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중 소유권 이전? 상고심에서 뒤늦은 주인 바꾸기는 안됩니다!

상표권 취소 소송이 진행 중에 상표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긴 경우, 소송 당사자를 상표권을 넘겨받은 사람으로 바꿀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고심에서는 소송 당사자 변경이나 승계참가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상표권#분쟁#소송#양도

특허판례

상표권자가 허락없이 타인에게 상표 사용하게 한 경우, 상표등록 취소될까? (구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1호 적용 범위)

2001년 7월 1일 이후에는 상표권자가 전용사용권 등의 설정등록 없이 타인에게 상표 사용을 허락하더라도 더 이상 상표등록 취소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상표권#무단사용#상표등록취소#법개정(1997.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