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가 만든 서울시 시우회와 의정회 지원 조례가 대법원에서 위법 판결을 받았습니다. 퇴직 공무원과 시의원 모임에 시민 세금을 지원하는 것이 문제가 된 것이죠. 왜 이 조례가 문제가 되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시우회 & 의정회, 도대체 뭐 하는 곳?
서울시 시우회는 서울시와 산하기관 퇴직 공무원들의 모임이고, 서울시 의정회는 서울시의회 전·현직 의원들의 모임입니다. 이 조례는 이 두 단체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시 예산으로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시정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 자문, 시정 모니터링, 봉사활동 등 다양한 사업을 한다는 명목이었죠.
대법원, "안 돼!" ✋ 지방재정법 위반!
대법원은 이 조례가 지방재정법 제17조를 위반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방재정법 제17조는 지자체가 개인이나 단체에 함부로 돈을 주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지방자치단체가 권장하는 사업"이어야 하고, "보조금 없이는 사업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여야 합니다.
대법원은 서울시 시우회와 의정회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 이러한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봤습니다. 몇 가지 중요한 판단 근거를 살펴보면,
혈세 낭비 막은 대법원 판결! 👍
이번 판결은 시민들의 혈세가 낭비되는 것을 막고,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한 사업에 세금이 제대로 쓰여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것이죠. 앞으로 지자체는 보조금 지급에 더욱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일반행정판례
서초구의회가 의정회(구의원들의 모임) 활동 지원을 위해 만든 조례가 위법하여 효력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지원 대상이 법에서 정한 보조금 지급 기준에 맞지 않고, 재정 부담에 대한 구청장 의견도 듣지 않았다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가 주민의 행정심판 청구를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었는데, 법원은 이 조례가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을 침해하고 재정 운영을 어렵게 한다는 이유로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서울시의회가 의원들에게 유급 보좌관을 지급하는 조례를 만들어 통과시켰으나, 대법원은 이 조례가 위법이라고 판결하여 무효가 되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서울시의회가 의원들을 지원할 정책지원요원을 채용하려는 공고를 냈는데, 행정자치부 장관이 이를 위법하다고 판단하여 직권으로 취소한 처분이 적법하다는 판결. 지방의회 의원의 유급 보좌 인력 채용은 법률로 정해야 할 사항이기 때문에 지자체가 임의로 채용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가 행정사무 감사와 관련된 절차를 조례로 정할 수 있는지, 특히 증인 선서, 불출석 처벌 등을 조례로 정한 것이 위법인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핵심은 조례로 정할 수 있는 부분과 법률로 정해야 하는 부분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일반행정판례
서초구의회가 예산 낭비 사례 공개 및 예산성과금 지급 한도 제한 조례를 만들었는데, 구청장이 자신의 권한을 침해한다며 반대했지만 법원은 구의회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