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3.01.24

민사판례

선급금 보증사고, 언제 발생할까? 공사기간과 보증기간이 같을 때는?

건설공사에서 하도급 업체는 공사 시작 전 선급금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원도급 업체는 하도급 업체가 선급금을 제대로 사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보증을 요구하는데, 이것이 바로 선급금보증입니다. 만약 하도급 업체가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면 보증기관(주로 전문건설공제조합)이 원도급 업체에게 선급금을 돌려줍니다. 그런데 이 '계약 불이행'을 의미하는 보증사고는 정확히 언제 발생하는 걸까요? 특히 공사기간과 보증기간이 같을 때는 더욱 헷갈리는데요, 오늘은 이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건설회사는 B 회사에게 하도급을 주면서 선급금을 지급했습니다. B 회사는 전문건설공제조합으로부터 선급금보증을 받았는데, 공사기간과 보증기간은 둘 다 2000년 9월 25일까지였습니다. B 회사는 공사를 제때 완료하지 못했고, A 회사는 같은 날 하도급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A 회사는 전문건설공제조합에 선급금보증금을 청구했지만, 조합은 보증기간 내에 계약 해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쟁점: 보증사고의 발생 시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바로 보증사고 발생 시점입니다. 전문건설공제조합은 하도급 계약이 해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달리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선급금보증의 취지와 당사자 간의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주계약에서 정한 채무의 불이행이 있은 때"**를 보증사고 발생 시점으로 보았습니다. 즉, 공사기간 내에 공사를 완료하지 못한 것이 명백해진 시점에 이미 보증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만약 계약 해지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공사기간과 보증기간이 일치하는 경우 보증기간 내에 계약 해지가 어려워져 보증의 실효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계약 해지 여부와 관계없이 채무 불이행 사실 자체를 중요하게 보았습니다.

핵심 정리

  • 선급금보증에서 보증사고란 보증책임을 구체화하는 불확정한 사고를 의미합니다. (건설산업기본법 제54조, 제56조,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56조, 민법 제105조)
  • 보증사고의 구체적인 내용은 보증약관, 보증서, 주계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 공사기간과 보증기간이 일치하는 선급금보증에서 보증사고는 주계약의 해지 시점이 아니라 채무 불이행이 있은 때 발생합니다. (대법원 2000. 11. 10. 선고 99다26764,26771 판결, 대법원 1998. 2. 13. 선고 96다19666 판결, 대법원 2000. 3. 24. 선고 98다25177 판결 참조)

이 판례는 선급금보증의 보증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사기간과 보증기간이 같을 때, 하도급 업체의 채무 불이행 시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생절차개시신청과 계약이행보증보험금 지급

하도급업체가 회생절차를 신청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계약 불이행으로 간주하여 보증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계약을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회생절차개시신청#계약이행보증보험#계약불이행#종합적판단

민사판례

공사 보증보험, 공사기간과 선급금 허위 고지하면 취소될 수 있다!

건설공사 보증보험 가입 시, 공사기간이나 선급금을 거짓으로 알리면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

#공사보증보험#공사기간#선급금#허위고지

민사판례

하도급 보증, 공사기간 연장해도 보증기간 자동으로 늘어나지 않아요!

건설공제조합이 발급한 하도급대금 지급보증서의 보증기간은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간의 계약 변경으로 자동 연장되지 않습니다. 추가 공사에 대한 보증을 받으려면 별도의 보증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하도급대금 지급보증#보증기간#계약변경#자동연장

민사판례

건설공사 선급금 관련 보증, 제대로 알고 계약하세요!

건설회사가 공사 선급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이를 숨기고 공제조합으로부터 보증을 받았다면, 이는 사기(기망행위)에 해당하여 공제조합이 보증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

#건설공사#선급금#허위고지#기망행위

민사판례

건설공사 선급금, 제대로 알리고 보증받으세요!

건설사가 공사 선급금 관련 정보를 제대로 알리지 않고 건설공제조합과 보증계약을 체결한 경우, 조합은 그 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 발주자(도급인)가 이러한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보증계약 취소의 효력은 발주자에게도 미친다.

#건설공제조합#계약이행보증보험#계약취소#선급금 미고지

민사판례

하자보수보증, 보증사고는 언제 발생할까? 건설공사 하자보수와 보증의 범위에 대한 이야기

건설공사에서 하자보수보증계약의 보증사고 범위는 계약 내용과 약관을 살펴봐야 한다. 특히, 이 판례는 약관에서 '하자' 발생 시점을 명확히 제한하지 않은 경우, 검수 전에 발생한 변경시공 하자라도 보증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고 판시했다.

#하자보수보증#변경시공#검수전하자#보증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