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12.21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왜 처음 세금만 따지지? - 법원의 센스있는 역할

세금 문제, 정말 복잡하죠? 특히 세금을 더 내라고 하는 "경정처분"이 두 번이나 나오면 머리가 더 아파집니다. 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법원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알려드리는 판례 이야기를 해볼게요.

사건의 시작: 계속되는 세금 고지

대동기어라는 회사(원고)가 자기 주식을 팔았는데, 세무서(피고)는 주식 가격을 문제 삼아 세금을 더 내라고 했습니다(증액경정처분). 그런데 얼마 후, 세무서는 계산이 잘못되었다며 세금을 또! 더 내라고 했습니다(재증액경정처분).

회사의 주장: 처음 세금이 잘못됐어!

회사는 "처음 세금 부과(증액경정처분)가 잘못됐다!"라며 소송을 걸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두 번째로 더 내라고 한 세금(재증액경정처분)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법원의 판단: 잠깐, 진짜 하고 싶은 말이 뭐야?

보통, 세금을 두 번 더 내라고 하면(재증액경정처분), 처음 더 내라고 한 것(증액경정처분)은 효력을 잃습니다. 그래서 원심 법원은 "처음 세금 부과는 이미 효력이 없으니, 이 소송은 의미가 없다"라며 회사의 소송을 각하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달랐습니다. 대법원은 "회사가 두 번째 세금 부과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안 하고 처음 세금 부과만 다투는 진짜 이유가 뭘까?"라고 생각했습니다. 회사가 재증액경정처분이 있었는지 몰랐을 수도 있고, 아니면 뭔가 다른 이유가 있을 수도 있죠.

대법원의 결론: 법원은 당사자의 진짜 의도를 확인해야 한다!

대법원은 원심 법원이 회사에게 "진짜 하고 싶은 말이 뭐냐"라고 제대로 물어보지 않은 것을 지적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126조 제1항, 제4항 - 법원은 소송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당사자에게 필요한 질문을 할 수 있고, 당사자는 이에 성실하게 답변해야 합니다.)

즉, 법원은 당사자가 무슨 말을 하고 싶어 하는지, 소송에서 정확히 무엇을 다투고 싶어 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래야 당사자가 원치 않는 결과를 맞닥뜨리는 일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심 법원의 판결을 파기하고, 회사의 진짜 의도를 확인하도록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핵심 정리:

  • 세금을 두 번 더 내라고 하는 경우, 처음 것은 효력을 잃습니다.
  • 하지만 당사자가 처음 세금 부과만 다투는 경우, 법원은 그 이유를 확인해야 합니다.
  • 법원은 당사자의 진짜 의도를 파악하여 공정한 재판을 진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처음 세금도 따져볼 수 있을까?

세무서에서 세금을 부과한 후, 나중에 세금을 더 내라고 증액하는 처분을 한 경우, 처음 부과된 세금이 이미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증액된 세금에 대한 소송에서 처음 부과된 세금이 잘못되었는지도 함께 다툴 수 있다.

#세금#증액경정#불복#기존세금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그럼 처음 세금은 어떻게 되는 거야? (+ 돈 번 건 맞는데, 계약이 잘못됐다고?)

세금을 더 내라고 하는 '증액경정처분'이 나오면 처음 세금 부과 처분은 효력을 잃고, 증액된 부분만 쟁송 대상이 된다. 그리고 세금을 매길 소득인지 판단할 때는 실제로 이득을 얻고 지배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보고, 그 이득을 얻게 된 과정이 법적으로 완벽하게 유효한지는 중요하지 않다.

#증액경정처분#쟁송대상#부과소득#실질과세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원래 세금 부과 자체가 잘못된 거라면?

세금 부과 처분이 증액된 경우, 처음 부과된 세금과 증액된 세금에 대한 위법 사유가 동일하다면, 처음 부과된 세금에 대한 불복 절차만으로도 증액된 세금에 대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제소기간은 처음 소송을 제기한 날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증액경정처분#행정소송#제소기간#동일 위법사유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으면, 처음 세금과 가산금은 어떻게 되나요?

세금을 정정해서 늘리는 '증액 경정처분'이 있으면 처음 세금 부과 (당초 과세처분)는 효력을 잃고, 처음 부과에 대한 연체료(가산금)도 사라진다.

#증액경정처분#당초과세처분#가산금#효력상실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덜 내달라고 한 소송은 어떻게 될까?

세금 감액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해서 소송을 걸었는데, 그 사이에 세금이 오히려 증액된 경우, 처음에 거절당한 감액 요청에 대한 소송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진다는 내용입니다.

#감액경정청구#거부처분#취소소송#증액경정처분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처음 세금도 따져볼 수 있을까?

세금을 증액하는 경정처분이 있으면 이전 처분은 새로운 처분에 흡수되어 사라지고, 증액된 부분뿐 아니라 원래 세금에 대해서도 다툴 수 있습니다. 잘못된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했더라도, 그 계산 착오 자체만으로는 처분이 무효가 되지는 않습니다.

#세금#증액 경정처분#당초 처분 효력#흡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