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7.11

세무판례

세금 부과, 믿음과 약속도 중요해요! 유휴토지 초과이득세,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세금 문제, 정말 복잡하죠? 특히 토지초과이득세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오늘은 세금 부과에 있어서 신의성실의 원칙유휴토지 양도 시 토지초과이득세 계산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세무서도 약속은 지켜야죠! - 신의성실의 원칙

세금 부과는 법대로 하는 게 원칙이지만, 세무서도 납세자와의 약속은 지켜야 합니다. 이를 신의성실의 원칙 또는 금반언의 원칙이라고 하는데요, 이 원칙이 적용되려면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 첫째, 세무서에서 납세자가 믿을 만한 공식적인 의견을 제시해야 합니다. 담당 공무원의 말 한마디가 아니라, 공식적인 입장이어야 한다는 점, 기억해두세요!
  • 둘째, 납세자가 세무서의 의견을 믿은 것에 대해 납세자에게 잘못이 없어야 합니다.
  • 셋째, 납세자가 세무서의 의견을 믿고 그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해야 합니다.
  • 넷째, 세무서가 이전 의견과 반대되는 처분을 하면서 납세자에게 손해가 발생해야 합니다.

이번 사례에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이 토지거래계약을 허가했다고 해서 세금을 부과하지 않겠다는 세무서의 공식적인 의견 표명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는 판단이 내려졌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6. 1. 23. 선고 95누13746 판결) 세무서의 공식적인 입장 표명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관련 법 조항: 국세기본법 제15조)

2. 유휴토지 팔았는데, 이전 소유자 기간까지 세금을 내라고요? - 토지초과이득세 계산

토지초과이득세는 토지 가격 상승에 따른 이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그런데 헌법재판소에서 토지초과이득세법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린 후, 법이 바뀌었습니다. 핵심은 유휴토지를 양도할 경우, 양도자가 소유한 기간의 이득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한다는 것입니다. 즉, 이전 소유자가 가지고 있던 기간의 이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낼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관련 법 조항: 토지초과이득세법 제26조 제2항)

이 개정된 법은 이전 사건에도 소급 적용됩니다. 즉, 과거에 유휴토지를 양도하고 이전 소유자 기간까지 포함해서 세금을 냈다면, 돌려받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토지초과이득세법 제26조 제2항, 관련 판례: 헌법재판소 1994. 7. 29. 선고 92헌바49, 52 결정)

위 내용은 참고용이며, 실제 세금 문제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복잡한 세금 문제, 꼼꼼히 따져보고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면제 약속, 믿었는데 뒤통수 맞았다고요? 구청도 신의성실해야죠!

구청장의 지시를 받은 구청 직원이 구청 건물 부지 매도자에게 대체 부동산 취득 시 취득세를 면제해 주겠다고 약속했고, 매도자가 이를 믿고 땅을 팔고 새 부동산을 샀는데 구청이 취득세를 부과하자, 대법원은 구청의 행위가 신의성실 원칙에 위배된다고 판결했습니다. 세무 담당자가 아니더라도 구청장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진 약속이라면 과세관청의 공식 입장으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취득세 면제#신의성실#구청#약속

세무판례

땅에 대한 세금, 토지초과이득세,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유휴토지, 공유토지 관련)

헌법 불합치 결정에 따른 토지초과이득세법 개정안 적용 범위, 토지 사용 제한 해제 시 유휴토지 제외 기간, 공유토지에 대한 토지초과이득세 기본공제 횟수에 대한 판결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법개정#소급적용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무허가 건축물, 그리고 기준시가: 땅값 상승에 따른 세금,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건축허가가 취소된 건물이라도 재산세 과세대장에 등록되어 있고 1989년 12월 31일 이전에 지어졌다면 토지초과이득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토지초과이득세#건축허가취소#무허가건물#재산세 과세대장

세무판례

땅에 붙는 세금,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엔 어떻게 될까?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토지초과이득세법이 개정되어 무주택자가 소유한 작은 면적의 나지도 유휴토지에서 제외되도록 바뀌었는데, 이 개정된 법은 이전 과세에도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

#토지초과이득세#무주택자#나지#면적확대

세무판례

땅값에 비해 건물값이 너무 싸면 유휴토지? 토지초과이득세란 무엇인가?

건물 가치가 땅값에 비해 지나치게 낮으면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데, 그 기준과 관련 법 개정의 소급적용에 대한 판례입니다.

#토지초과이득세#건물가치#땅값#유휴토지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예정과세, 알고 보면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이 있다?!

이 판례는 토지초과이득세 예정과세처분 취소소송에서 이미 세액 공제를 받았더라도 소송을 유지할 이익이 있다는 점, 연불조건부 매매 여부는 토지 사용 가능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점, 그리고 유휴토지 판정은 실질적인 보유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토지초과이득세#예정과세처분#소의이익#연불조건부매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