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6.29

세무판례

세금 부과 처분의 적법성과 증명책임, 그리고 처분사유 변경에 대한 법원의 판단

세금과 관련된 분쟁에서 누가 무엇을 입증해야 하는지, 그리고 세무서가 세금 부과 이유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판결이 나왔습니다. 이번 판결은 세금 관련 소송에서 납세자와 세무서 양측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1. 무효확인소송과 증명책임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납세자는 세무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세금 부과 자체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할 경우, 납세자는 세금 부과가 왜 무효인지를 입증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세금 부과가 '취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소송과는 다릅니다. 취소소송에서는 세무서가 세금 부과가 정당함을 입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하더라도, 보통은 세금 부과 취소를 구하는 의미도 포함된다고 법원은 봅니다. 따라서 납세자가 세금 부과가 무효임을 입증하지 못하더라도, 법원은 세금 부과를 취소할 만한 다른 이유가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2. 세금 부과 이유의 변경

세무서는 소송 중에도 세금 부과의 이유를 바꿀 수 있을까요? 이번 판결은 "그렇다"라고 답합니다. 세금 부과의 핵심 내용(과세표준이나 세액)이 바뀌지 않는 한, 세무서는 소송 중에도 세금 부과 이유를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과거 위헌 결정으로 효력을 잃은 법 조항을 근거로 세금을 부과한 경우, 세무서는 소송 중에 다른 법 조항을 근거로 세금 부과 이유를 바꿀 수 있습니다.

3. 변경된 부과 이유에 대한 증명책임

그렇다면 변경된 세금 부과 이유가 정당한지는 누가 입증해야 할까요? 이번 판결은 세무서에게 그 책임이 있다고 명확히 했습니다. 납세자가 기존의 부과 이유가 무효라고 입증했다면, 세무서는 새롭게 제시한 부과 이유가 정당함을 입증해야 합니다.

이번 판결의 핵심

이번 판결은 세금 관련 소송에서 증명책임의 소재와 세금 부과 이유 변경의 허용 범위를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세무서가 소송 중 세금 부과 이유를 변경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변경된 이유의 정당성을 입증할 책임은 세무서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는 납세자의 권리 보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판결입니다.

참조조문:

  • [1] 행정소송법 제19조, 제26조(증명책임), 제27조(행정소송재판일반), 제35조
  • [2] 구 법인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제5항(현행 제67조 참조), 행정소송법 제1조(행정처분일반), 제19조, 제26조(증명책임), 제27조(행정소송재판일반), 제35조

참조판례:

  • [1] 대법원 1976. 1. 13. 선고 75누175 판결, 대법원 1987. 4. 28. 선고 86누887 판결, 대법원 1992. 3. 31. 선고 91다32053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05. 12. 23. 선고 2005두3554 판결, 대법원 2017. 6. 19. 선고 2013두17435 판결
  • [2] 대법원 1999. 12. 24. 선고 98두7350 판결, 헌법재판소 1995. 11. 30. 선고 93헌바32 전원재판부 결정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부과, 증명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세금 부과가 정당한지에 대한 소송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세금 부과의 근거가 되는 사실을 입증할 책임은 세금을 부과한 과세 당국에 있다.

#세금#부과처분#취소소송#증명책임

세무판례

세금계산서가 허위일 때, 비용 증명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그리고 세금 부과처분이 변경되었을 때는 어떻게 불복해야 할까?

* 세금계산서가 허위로 밝혀진 비용에 대해서는 납세자가 실제 지출을 입증해야 합니다. * 세금이 증액되는 경정처분이 있으면, 이전 처분은 효력을 잃고 증액된 최종 처분만 소송 대상이 됩니다.

#세금계산서 허위#비용 증명책임#증액경정처분#소송 대상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잘못됐다면? 무효확인소송, 한 번 판결 나면 끝!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다며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할 때, 소송의 핵심은 세금 부과 자체의 정당성 여부이고, 한 번 판결이 확정되면 판결 전에 주장하지 않았던 이유로는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세금부과취소소송#소송대상#판결효력#기판력

세무판례

세금 부과 취소 소송에서 새로운 증거와 주장 변경, 가능할까?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다며 제기하는 소송에서, 세무서가 새로운 증거를 제출하거나 세금 부과 이유를 변경할 수 있는지, 특히 이월결손금 존재 여부에 따라 부과 이유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일정한 조건 하에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세금부과취소소송#증거제출#과세이유변경#이월결손금

세무판례

세금 계산 오류? 그럼 세금 전부 취소? 부분 취소?

세금 계산이 잘못되어 위법한 과세 처분을 받았더라도, 재판 과정에서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법원은 전체 과세 처분을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 계산된 부분만 취소해야 합니다. 다만, 법원이 세무서에 자료 제출을 요구하거나 직접 조사할 의무는 없습니다.

#세금#과세처분#위법#재판

세무판례

세금 관련 소송에서 누가 입증해야 할까요? 가산금과 위헌 결정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회사가 세금 부과가 부당하다며 낸 소송에서, 법인세 부분은 회사가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고, 가산금 부과는 애초에 처분 자체가 없었으며, 근로소득세 부과는 위헌 결정으로 근거 법률이 사라진 경우에 해당한다는 판결.

#법인세#가산금#원천징수 갑종근로소득세#부과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