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2.25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잘못됐다면? 무효확인소송, 한 번 판결 나면 끝!

세금 고지서를 받고 뭔가 잘못됐다고 생각되면 세금 부과 처분을 무효로 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과세처분무효확인소송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소송, 한 번 판결이 나면 다시 똑같은 소송을 걸 수 없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은 '청구취지'

과세처분무효확인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청구취지'입니다. 즉, "이 세금 부과는 잘못됐으니 무효로 해주세요!"라는 핵심적인 요구 사항입니다. 세금이 잘못 부과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죠. 예를 들어, "내가 이 땅을 증여받은 적이 없는데 왜 증여세를 부과하나요?" 또는 "증여는 받았지만 조세 회피 목적이 아니었어요!" 와 같이 다양한 이유를 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이유들은 '공격방어방법'이라고 부릅니다. 법원은 청구취지만 보고 소송의 내용이 같은지 판단합니다. 즉, 공격방어방법이 달라졌다고 해서 다른 소송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한 번 판결 나면 번복 어려워

만약 첫 번째 소송에서 "조세회피 목적이 없었다"라는 주장을 했지만 패소했다면, 나중에 "애초에 증여받은 사실 자체가 없다"라는 새로운 주장으로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세금 부과 처분이 무효"라는 핵심적인 쟁점에 대해 판결이 났기 때문입니다. 이를 기판력이라고 합니다. 한 번 확정된 판결의 효력은 강력해서, 나중에 다른 주장을 하더라도 다시 다툴 수 없습니다. 변론이 끝나는 시점까지 제출하지 않은 공격방어방법은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없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판례는 어떻게 판단했을까?

이번 판례(대법원 1988.6.28. 선고 87누1009 판결)에서 원고는 처음에는 조세회피 목적이 없었다고 주장하다가 패소하자, 두 번째 소송에서는 아예 증여 사실 자체를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두 소송 모두 "과세처분이 무효임을 확인해달라"는 청구취지가 동일하므로, 첫 번째 판결의 기판력에 저촉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설립 중인 회사도 증여를 할 수 있으므로, "회사가 설립되기 전이라 증여가 불가능하다"는 원고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관련 법 조항

  • 행정소송법 제8조 (소의 이익): 취소소송은 처분등의 효력 유무 또는 존재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는 자만이 제기할 수 있다.
  • 행정소송법 제27조 (재판의 기판력): 확정판결은 당사자 사이에 그 소송물과 동일한 사항에 대하여 기판력이 있다.

세금 관련 소송은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판례처럼 기본 원칙을 이해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권리를 보호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납부 후 과세처분 무효확인 소송, 가능할까요?

이미 납부한 세금에 대한 과세처분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해서 무효라고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낼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아니오"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미 세금을 냈다면 굳이 무효확인 소송을 할 필요 없이 바로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세금 돌려달라는 소송)을 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세금납부#과세처분무효확인소송#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소송이익

세무판례

세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패소 후, 무효확인 소송은 가능할까?

이미 세금 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패소하여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같은 세금 부과처분에 대해 다시 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세금부과처분#취소소송#패소#확정판결

세무판례

세금 부과 처분의 적법성과 증명책임, 그리고 처분사유 변경에 대한 법원의 판단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해서 소송을 할 때, 누가 무엇을 증명해야 하는지, 그리고 세무서가 소송 중에 세금 부과 이유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특히, 처음 부과 이유가 위헌으로 밝혀진 경우, 세무서가 새로운 이유를 대고 세금 부과를 정당화하려 할 때, 그 새로운 이유에 대한 증명 책임은 세무서에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세금#부과처분#취소소송#증명책임

세무판례

세금 납부 후 무효확인 소송, 환급청구권, 전심절차 등에 대한 종합 정리

이 판례는 세금을 연대납부한 회사가 납부고지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송에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는 점, 과세처분이 취소되면 환급청구권이 자동으로 발생한다는 점, 연대납부의 경우 전심절차를 별도로 거쳐야 한다는 점, 그리고 명의신탁이 증여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대납부#확인의 이익#환급청구권#전심절차

세무판례

세금 부과, 다시 할 수 있을까? - 위법한 세금 부과 후 정정

세무서가 처음에 세금을 잘못 계산해서 법원에서 취소 판결을 받았더라도, 잘못된 부분을 고쳐서 다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문제없다는 판결입니다.

#세금 재부과#기판력#증여세#토지 가격

세무판례

세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이미 졌는데 다시 무효라고 소송 걸 수 있을까?

한 번 확정된 판결은 그 내용과 동일한 사항에 대해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는 '기판력'의 원칙을 재확인한 판례입니다. 세금 부과 처분에 불복하여 취소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한 원고가, 이후 같은 처분에 대해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했지만 기판력에 의해 패소했습니다.

#기판력#확정판결#증여세#취소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