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2.28

민사판례

소액사건 재판, 대법원 판례 언급 제대로 해야 상고 가능!

소액사건 재판에서 졌다고 무조건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대법원 판례와 원심 판결이 다르다고 주장하려면 훨씬 꼼꼼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다시 한번 확인된 이 중요한 내용,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핵심은 "구체적으로"

소액사건은 적은 금액의 분쟁을 빠르게 해결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제2호) 그래서 대법원 상고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데요, 만약 원심 판결이 대법원 판례와 다르다고 생각해서 상고하려면, 단순히 "판례랑 다르다!"라고만 주장해서는 안 됩니다. 어떤 부분이, 어떤 판례와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심지어 해당 대법원 판례까지 명확하게 제시해야 하죠. (소액사건심판규칙 제8조, 민사소송규칙 제85조)

판례를 막연히 언급하면 안돼요!

이번 대법원 판결에서 원고는 원심 판결이 대법원 판례에 위반된다고 주장했지만, 정확히 어떤 판례인지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법리 오해"라고만 주장했죠. 대법원은 이러한 상고 이유는 적법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과거에도 비슷한 판결들이 있었는데요, 대법원은 꾸준히 소액사건 상고 시 대법원 판례를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습니다. (대법원 1980. 7. 8. 선고 80다1156 판결, 1983. 10. 25. 선고 82다413 판결, 1984. 3. 13. 선고 83다580 판결 참조)

결론

소액사건에서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상고하려면 해당 판례를 명확히 제시하고, 원심 판결의 어떤 부분이 그 판례와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막연한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액사건, 대법원까지 갈 수 있을까? 상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자!

소액사건은 단순히 법을 잘못 적용했다거나, 증거 조사를 잘못했다는 이유로는 상고할 수 없고, 대법원 판례에서 해석한 법령의 의미와 정반되는 해석을 했을 때에만 상고할 수 있습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법률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대법원까지 갈 수 있을까? 상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자!

소액사건에서 상고하려면 대법원 판례와 정확히 어떤 부분에서 어긋나야 하는지를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단순히 판결이 잘못됐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법률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면 상고 가능할까?

소액사건은 상고가 제한되는데,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는 판단을 했을 때만 상고할 수 있습니다. 이때 '대법원 판례 위반'은 단순한 법 적용의 실수가 아니라, 대법원이 내린 법 해석 자체에 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정의적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상고, 아무 때나 할 수 없어요!

소액사건에서는 단순히 증거를 잘못 판단했거나 법을 잘못 적용했다는 이유만으로는 상고할 수 없고, 대법원 판례에서 법을 해석한 것과 반대로 해석한 경우만 상고할 수 있습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법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상고, 대법원 판례 위반이란 무엇일까?

소액사건에서 상고하려면 대법원 판례와 **법령 해석**이 어긋나야 합니다. 단순히 법을 잘못 적용했거나 증거를 잘못 판단한 경우는 안 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법령 해석

민사판례

소액 사건에서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는 판단이란 무엇일까요?

소액사건에서 대법원 판례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상고하려면, 단순히 법을 잘못 적용했거나 증거를 잘못 판단한 것이 아니라, 대법원이 내린 법률 해석 자체에 반하는 판단이 있어야 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정의적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