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사 소음 때문에 너무 시끄러우셨죠? 공사장 소음은 정말 스트레스입니다. 법으로 정해진 시간 외에 시끄러운 공사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소음 때문에 골머리를 앓던 주민들이 공사 업체를 신고한 사례를 통해 소음 관련 법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청소년수련관 신축 공사 현장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주민들이 관할 관청에 신고했습니다. 관청은 소음·진동규제법에 따라 공사 업체에 작업시간 조정 명령을 내렸습니다. 즉, 특정 시간(오전 8시~10시) 외에는 시끄러운 작업을 하지 말라는 것이었죠. 하지만 업체는 이를 어기고 다른 시간에도 작업을 계속했습니다. 결국 업체는 소음·진동규제법 위반으로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공사 업체의 행위가 소음·진동규제법 위반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작업시간 조정 명령은 절대적: 관청에서 작업시간을 정해줬다면, 업체가 임의로 "이제 소음 안 날 거 같으니 다른 시간에도 작업해야지"라고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관청의 명령을 따라야만 합니다. (소음·진동규제법 제26조 제1항, 제59조)
법인의 사용인 책임: 이 사건에서는 공사 업체의 현장 책임자뿐 아니라, 업체 자체도 처벌받았습니다. 법인의 업무를 수행하고 법인의 통제, 감독을 받는 사람이라면 법인의 '사용인'으로 간주되어 법인도 함께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소음·진동규제법 제62조)
핵심 정리
소음은 우리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법규를 잘 알고 준수하여 모두가 평화로운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생활법률
공사장 소음은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라 규제되며, 특정 규모 이상의 공사는 사전/변경 신고 의무가 있고, 소음 기준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징역/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저감 대책 수립 및 방음시설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생활법률
공사장 소음은 법으로 규제되며, 특정 공사는 사전신고가 필요하고, 소음 기준 초과 시 최대 200만원, 신고 의무 위반 시 최대 1,000만원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생활법률
주거지역 인근 사업장/공사장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소음·진동은 법적 규제 대상이며, 종류/시간/지역별 허용 기준을 초과할 경우 최대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생활법률
특정 지역 외 공장, 공사장, 사업장 소음·진동은 시간대 및 장소별로 법적 기준치가 정해져 있으며, 위반 시 작업 조정, 사용금지, 과태료, 벌금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상담사례
밤에 공장 소음으로 고통받는 경우,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상 기준치 초과 여부를 확인하고, 초과시 유지청구 및 손해배상 청구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지만, 이사 전 소음 문제를 인지했을 경우 배상액이 감소될 수 있다.
생활법률
공장 소음·진동은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라 지역별, 시간대별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배출시설 설치·변경 시 신고/허가, 방지시설 설치, 환경기술인 임명 등의 의무를 이행해야 하고, 위반 시 과태료, 조업정지, 징역 또는 벌금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