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우리 공장, 소음·진동 괜찮을까? 공장 소음·진동 기준 완벽 정리!

공장 운영하시는 분들 주목! 혹시 소음·진동 때문에 주변 민원에 시달리고 계신가요? 아니면 앞으로 공장을 설립할 예정인데 소음·진동 기준이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이 글을 꼭 읽어보세요! 공장 소음·진동 관련 법규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우리 공장 소음, 얼마나 허용될까? (소음 배출허용기준)

공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주변 지역에 따라 허용되는 정도가 다릅니다. 데시벨(dB(A)) 단위로 측정하며, 주거지역, 녹지지역 등 조용해야 하는 곳일수록 기준이 엄격합니다. 시간대별로도 기준이 다르니 아래 표를 확인하세요!

대상 지역 낮 (06:00~18:00) 저녁 (18:00~24:00) 밤 (24:00~06:00)
전용주거지역, 녹지지역(일부), 관리지역(일부), 자연환경보전지역(수산자원보호구역 제외) 50dB(A) 이하 45dB(A) 이하 40dB(A) 이하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녹지지역(일부) 55dB(A) 이하 50dB(A) 이하 45dB(A) 이하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수산자원보호구역), 관리지역(일부) 60dB(A) 이하 55dB(A) 이하 50dB(A) 이하
상업지역, 준공업지역, 관리지역(산업개발진흥지구) 65dB(A) 이하 60dB(A) 이하 55dB(A) 이하
일반공업지역, 전용공업지역 70dB(A) 이하 65dB(A) 이하 60dB(A) 이하

(관련 법규: 소음·진동관리법 제2조제7호, 제7조제1항,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8조제1항 및 별표 5)

2. 진동도 기준이 있을까? (진동 배출허용기준)

네, 진동도 마찬가지로 기준이 있습니다. 진동은 dB(V) 단위로 측정하며, 소음과 동일하게 주변 지역 및 시간대에 따라 허용 기준이 다릅니다.

대상 지역 낮 (06:00~22:00) 밤 (22:00~06:00)
전용주거지역, 녹지지역, 관리지역(일부), 자연환경보전지역(수산자원보호구역 제외) 60dB(V) 이하 55dB(V) 이하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수산자원보호구역), 관리지역(일부) 65dB(V) 이하 60dB(V) 이하
상업지역, 준공업지역, 관리지역(산업개발진흥지구) 70dB(V) 이하 65dB(V) 이하
일반공업지역, 전용공업지역 75dB(V) 이하 70dB(V) 이하

(관련 법규: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8조제1항 및 별표 5)

3. 소음·진동 발생시키는 기계 설치할 땐? (배출시설 설치)

소음·진동을 발생시키는 기계(소음·진동 배출시설)를 설치할 때는 지자체에 신고해야 합니다. 특히 병원, 학교, 주거지역 등 소음에 민감한 지역 주변이라면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소음·진동관리법 제8조제1항, 소음·진동관리법 시행령 제2조제2항) 또한, 기계 규모를 50% 이상 늘리거나 사업장 정보를 변경할 때도 변경신고가 필요합니다. (소음·진동관리법 제8조제2항,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10조제1항 및 별표 6)

4. 소음·진동 줄이려면? (방지시설 설치)

기계 설치 후에는 소음·진동을 줄이는 방지시설을 설치하고, 가동 후 30일 이내에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소음·진동관리법 제9조, 제14조,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 방지시설 종류는 소음기, 방음벽, 방진구 등 다양합니다. (소음·진동관리법 제2조제4호,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3조 및 별표 2 제1호)

5. 환경기술인은 필수!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 환경기술인을 임명해야 합니다. (소음·진동관리법 제19조제1항)

6. 기준 어기면 어떻게 될까? (제재)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면 개선명령, 조업정지명령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허가 취소, 폐쇄명령까지 내려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소음·진동관리법 제15조, 제16조, 제17조, 제18조, 제57조, 제58조)

이 글이 공장 소음·진동 관리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법규 위반으로 불이익을 겪지 않도록 꼼꼼하게 확인하고 준비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층간소음 말고 생활소음?! 공사장, 사업장 소음 기준 완벽 정리!

특정 지역 외 공장, 공사장, 사업장 소음·진동은 시간대 및 장소별로 법적 기준치가 정해져 있으며, 위반 시 작업 조정, 사용금지, 과태료, 벌금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생활소음#진동 규제#확성기#공사장

생활법률

우리 주변의 소음, 참을 수 없을 땐? 생활소음·진동 규제 알아보기!

주거지역 인근 사업장/공사장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소음·진동은 법적 규제 대상이며, 종류/시간/지역별 허용 기준을 초과할 경우 최대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생활소음#진동#소음진동관리법#규제기준

생활법률

우리 동네 너무 시끄러워요! 생활소음·진동 규제, 제대로 알고 대처하자!

공사장 소음은 법으로 규제되며, 특정 공사는 사전신고가 필요하고, 소음 기준 초과 시 최대 200만원, 신고 의무 위반 시 최대 1,000만원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공사장 소음#소음진동관리법#소음 규제#신고 의무

생활법률

층간소음만큼 골치 아픈 공사장 소음, 규정 알고 대처하기!

공사장 소음은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라 규제되며, 특정 규모 이상의 공사는 사전/변경 신고 의무가 있고, 소음 기준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징역/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저감 대책 수립 및 방음시설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층간소음#생활소음#공사장 소음#소음·진동관리법

생활법률

우리 동네 조용히! 자동차 소음 기준, 다 알고 계시나요? (소음·진동관리법 해설)

2006년 이후 제작 차량은 차종별 배기/경적소음 허용 기준(dB)이 있으며, 특히 2023년 7월 이후 이륜차는 인증값+5dB까지 허용되고, 소음기/경적 개조, 점검 거부/불이행 시 최대 500만원 이하 벌금 또는 20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되며, 위반 신고 시 포상금 지급 제도가 운영된다.

#자동차 소음#허용 기준#과태료#신고 포상금

상담사례

밤마다 공장 소음 때문에 잠 못 이루시나요? 소음 피해, 이렇게 대처하세요!

밤에 공장 소음으로 고통받는 경우,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상 기준치 초과 여부를 확인하고, 초과시 유지청구 및 손해배상 청구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지만, 이사 전 소음 문제를 인지했을 경우 배상액이 감소될 수 있다.

#공장 소음#소음 피해#대처 방법#유지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