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신탁하면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탁재산의 재산세 납부 의무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례 소개
A회사는 B회사에 부동산을 신탁하고, 그 수익권을 C회사에 넘겼습니다. A회사는 C회사로부터 부동산 가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았고, 부동산의 운용, 관리, 처분 권한 등을 C회사에 포괄적으로 이전했습니다. 그리고 양도에 따른 세금은 A회사가, 취득에 따른 세금은 C회사가 부담하기로 특약을 맺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관할 구청은 A회사에게 재산세를 부과했습니다. A회사는 실질적으로 부동산을 매도했고, C회사가 실질적인 소유자이므로 재산세 납부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A회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A회사에게 재산세 납부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즉, A회사가 C회사에 실질적인 권한을 넘겼더라도, 법적으로는 A회사가 여전히 위탁자이기 때문에 재산세를 납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A회사와 C회사 사이의 특약은 그들 사이의 내부적인 약속일 뿐, 세법상 재산세 납부 의무자를 변경시키지는 않습니다.
결론
신탁재산의 재산세는 신탁계약 내용과 관계없이 법률에 따라 위탁자가 납부해야 합니다. 신탁을 활용할 때는 이 점을 유의하여 세금 문제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부동산을 신탁한 후 위탁자가 체납한 재산세를, 수탁자 소유로 된 신탁재산에서 징수할 수 없다. 또한, 사적인 계약으로 납세 의무가 없는 사람에게 세금을 내도록 강제할 수도 없다.
세무판례
신탁등기가 안된 부동산은 수탁자가 종부세 납세의무자이며, 과세표준은 위탁자별로 계산해야 한다.
민사판례
부동산을 신탁한 후 위탁자가 재산세를 체납한 경우, 해당 신탁 부동산을 압류하여 세금을 추징할 수 없다. 신탁재산은 수탁자의 소유이므로 위탁자의 채무와는 별개로 보호된다.
생활법률
신탁재산에 대한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는 일반적으로 위탁자(재산을 맡긴 사람)가 납부해야 하며, 신탁했다고 세금 납부 의무가 사라지지 않는다.
생활법률
신탁재산 세금은 법인세는 수익자(특정 조건부 수탁자), 부가세는 수탁자, 재산세는 위탁자(체납시 수탁자 물납), 취득세는 원칙적 비과세(주택조합 등 예외)가 납부한다.
민사판례
다른 사람의 돈을 맡아 관리하는 신탁에서, 맡겨진 돈으로 땅을 사더라도 등기상 명의자가 아닌 돈을 맡긴 사람이 세금을 내야 합니다. 만약 등기 명의자에게 세금을 부과했다면 그 처분은 무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