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10.27

민사판례

신탁받은 돈으로 산 땅,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요?

부동산 신탁은 재산 관리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내 돈을 다른 사람에게 맡겨 관리하게 하고, 그 이익을 돌려받는 방식인데요, 이때 세금은 누가 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오늘은 신탁재산에 대한 세금 납부 의무가 누구에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소개

한 지역주택조합이 조합원들로부터 돈을 신탁받아 땅을 샀습니다. 등기는 조합 명의로 했지만, 등기부등본에는 이 땅이 신탁재산임이 명시되어 있었죠. 그런데 지자체는 조합에 재산세 등을 부과했습니다. 조합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고, 대법원까지 가는 공방 끝에 승소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신탁법과 지방세법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 위탁자가 신탁한 돈으로 산 땅은 신탁재산에 속합니다.
  • 신탁재산에 대한 재산세 등의 납세의무자는 위탁자입니다.
  • 등기부등본에 신탁재산임이 명백히 드러나 있다면, 수탁자에게 세금을 부과한 처분은 무효입니다.

쉽게 말해, 조합원들이 돈을 모아 조합 명의로 땅을 샀더라도, 그 땅은 조합원들의 신탁재산이기 때문에 세금은 조합원들이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등기부등본에 신탁재산임이 명시되어 있는데도 조합에 세금을 부과한 것은 잘못되었다는 것이죠.

관련 법률

이 판결의 근거가 된 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 지방세법 (2005. 1. 5. 법률 제73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2조 제5항, 제234조의9 제2항 제5호, 제235조의2, 제260조의2
  • 구 지방세법 (2010. 3. 31. 법률 제10221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3조 제2항 제5호
  • 신탁법 제19조

참고 판례

  • 대법원 2007. 3. 15. 선고 2006두14582 판결

결론

신탁은 재산 관리에 유용한 제도이지만, 세금 문제 등 복잡한 법률 관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탁을 활용하기 전에 관련 법규와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신탁재산에 대한 세금 납부 의무는 수탁자가 아닌 위탁자에게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등기부등본에 신탁재산임이 명시되어 있는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신탁재산의 재산세, 누가 내야 할까요?

부동산을 신탁했을 때, 신탁계약 내용에 따라 수익자가 실질적인 관리권과 수익을 모두 갖는다고 하더라도, 재산세 납부의무는 법에 따라 위탁자에게 있다.

#신탁재산#재산세#납세의무#위탁자

세무판례

신탁부동산에 대한 세금, 누가 내야 할까? - 신탁등기 여부가 중요!

신탁등기가 안된 부동산은 수탁자가 종부세 납세의무자이며, 과세표준은 위탁자별로 계산해야 한다.

#신탁등기#종합부동산세#납세의무자#수탁자

생활법률

내 재산, 신탁했는데 세금은 누가 내나요? 🤔 신탁재산 세금 완전정복!

신탁재산에 대한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는 일반적으로 위탁자(재산을 맡긴 사람)가 납부해야 하며, 신탁했다고 세금 납부 의무가 사라지지 않는다.

#신탁#세금#위탁자#소득세

생활법률

신탁재산, 누가 세금 내야 할까요? (feat. 법인세, 부가세, 재산세, 취득세)

신탁재산 세금은 법인세는 수익자(특정 조건부 수탁자), 부가세는 수탁자, 재산세는 위탁자(체납시 수탁자 물납), 취득세는 원칙적 비과세(주택조합 등 예외)가 납부한다.

#신탁재산#세금#법인세#수익자

민사판례

신탁재산과 체납된 재산세, 누가 책임져야 할까?

부동산을 신탁한 후 위탁자가 체납한 재산세를, 수탁자 소유로 된 신탁재산에서 징수할 수 없다. 또한, 사적인 계약으로 납세 의무가 없는 사람에게 세금을 내도록 강제할 수도 없다.

#신탁재산#위탁자#체납세금#수탁자

세무판례

신탁재산의 재산세와 공동시설세 납부는 누가?

신탁 등기가 안 된 건물의 재산세는 등기부상 소유자인 수탁자가, 공동시설세 또한 수탁자가 납부해야 한다.

#신탁재산#재산세#공동시설세#납세의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