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6.29

형사판례

실업자도 노동조합 만들 수 있을까? 노동조합의 근로자 범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 노동조합을 구성할 수 있는 '근로자'의 범위에 대한 중요한 내용이 다뤄졌습니다. 오늘은 이 판결 내용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핵심 쟁점: 실업자도 노조 만들 수 있나?

이번 판결의 핵심은 "실업자도 노동조합을 만들 수 있는가?"입니다. 대법원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동조합법') 제2조 제1호와 제4호 (라)목에서 말하는 '근로자'에는 현재 일하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 실업 상태에 있거나 구직 중인 사람도 포함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당장 직장이 없더라도 노동3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보장받을 필요가 있다면 노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업별 노조와 초기업적 노조의 차이점

이 판결에서는 '기업별 노조'와 '초기업적 노조'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업별 노조는 특정 회사의 직원들로 구성된 노조이고, 초기업적 노조는 여러 회사의 직원들이나 특정 직종, 지역의 사람들로 구성된 노조입니다.

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 (라)목 단서에는 해고된 사람이 구제신청을 한 경우 예외적으로 근로자로 본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대법원은 이 단서가 기업별 노조에만 적용된다고 해석했습니다. 즉, 기업별 노조에서 해고된 사람이 구제신청을 했다면 노조원 자격을 유지할 수 있지만, 초기업적 노조에서는 해고 여부와 관계없이 실업자도 조합원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판결의 의미: 노동3권 보장 확대

이번 판결은 실업자나 구직자의 노동3권을 인정함으로써 노동자의 권익 보호 범위를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실업 상태에 놓이더라도 노동조합을 통해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제1호, 제4호 (라)목
  • 대법원 2004. 2. 27. 선고 2001두8568 판결
  • 대법원 2015. 1. 29. 선고 2012두28247 판결
  • 대법원 2015. 6. 25. 선고 2007두4995 전원합의체 판결

이번 판결은 노동 환경 변화에 따른 노동법 해석의 중요한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앞으로도 관련 법과 판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실업자도 노동조합 만들 수 있을까? - 청년유니온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노동조합 설립

일시적으로 실업 상태이거나 구직 중인 사람도 노동조합을 만들 수 있는 '근로자'에 포함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기업별 노동조합이 아닌, 지역별, 직종별, 산업별 노동조합의 경우에는 해고 등으로 근로자 지위를 잃더라도 노동조합 활동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실업자#구직자#노동조합#설립

상담사례

실업자도 노조 가입 할 수 있을까요? 🙋

실업자도 지역 노조 등 가입을 허용하는 노조에는 가입할 수 있다. 노조법은 근로 3권 보장에 초점을 맞춰 현재 실업 상태거나 구직 중인 사람도 근로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업자 노조 가입#지역 노조#근로기준법#노조법

일반행정판례

구직 중인 여성도 노동조합 만들 수 있을까? - 노동조합 설립과 근로자의 범위

구직 중인 여성도 노동조합을 만들거나 가입할 수 있다.

#구직 여성#노동조합 가입#설립 신고#법원 승소

상담사례

실직했는데 노조 가입, 가능할까요? 지역노조 가입과 근로자성에 대해 알아보자!

실직 상태라도 구직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고, 곧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면 지역 노조 가입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근로자성 판단은 복잡한 문제이므로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

#실직#노조 가입#지역노조#근로자성

상담사례

우리 회사에도 노조 만들 수 있을까? 노동조합 설립 A to Z!

2명 이상이면 누구나 자유롭게 노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으며, 규약 작성, 설립신고서 작성 후 관할 기관에 신고하여 신고증을 받으면 완료된다.

#노동조합#설립#절차#신고

상담사례

우리 회사에도 노조 만들 수 있을까? 노동조합 설립 A to Z

직장 내 노동조합 설립은 두 명 이상의 근로자면 규약 작성, 설립신고서 제출, 신고증 교부의 간단한 세 단계를 통해 가능하며, 자세한 정보는 고용노동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노동조합#설립#절차#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