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08.28

가사판례

실종선고 취소, 누가 할 수 있을까? - 상속과 이해관계

옛날 어느 가족에게 실종된 가장이 있었습니다. 오랜 시간이 흘러 법원은 그를 실종선고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그의 조카가 나타나 실종선고를 취소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조카는 실종선고를 취소해달라고 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실종선고 취소와 상속, 그리고 이해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실종선고된 사람(피상속인)에게 아내가 있었습니다. 옛날 법에 따르면, 자식이 없으면 아내가 가장 먼저 상속을 받게 됩니다. (구 민법 부칙 제25조 제1항, 조선민사령 제11조, 관습법). 조카는 상속 순위에서 아내보다 뒤에 있기 때문에, 즉 상속받을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실종선고 취소를 요청할 '이해관계'가 없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쉽게 말해, 조카는 상속과 아무 관련이 없으니 실종선고 취소를 요청할 자격이 없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실종선고 취소는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만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옛날 법(구 민법 시행 전)에서는 자식이 없으면 아내가 1순위 상속인입니다.
  • 조카는 상속 순위에서 밀리기 때문에 실종선고 취소를 청구할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관련 법 조항:

  • 민법 제29조 제1항
  • 민법 부칙(1958. 2. 22.) 제25조 제1항
  • 구 조선민사령(1939. 11. 10. 제령 제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조

이번 사례는 실종선고 취소를 위해서는 단순히 친척이라는 사실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상속에 대한 이해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상속 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실종된 삼촌, 돌아가신 줄 알았는데… 돌아오지 못하셨네요. 실종선고 취소는 누가?

실종선고된 삼촌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은 조카는, 아내의 생사가 불분명하더라도 이해관계인이 아니므로 직접 실종선고 취소를 청구하기 어렵다.

#실종선고 취소#이해관계인#상속인#조카

가사판례

실종선고 청구, 누가 할 수 있을까? 종손자의 경우는?

할아버지가 오랫동안 행방불명되었을 때, 종손자는 상속 순위가 낮다면 실종선고를 청구할 자격이 없다.

#실종선고#청구자격#종손자#상속순위

민사판례

실종선고 취소 가능성과 상속, 어떤 관계일까요?

실종선고 후 취소사유가 발견되더라도, 실제로 취소되기 전까지는 실종선고로 인한 상속은 유효하다.

#실종선고#상속#유효#취소

상담사례

실종 선고 받은 조부님, 가족관계등록부가 폐쇄되었다고요?

실종 선고를 받으면 법적으로 사망으로 간주되어 가족관계등록부가 폐쇄되고, 다른 가족 구성원의 등록부에는 해당 인물과의 관계가 '사망'으로 기록됩니다.

#가족관계등록부#폐쇄#실종선고#부재선고

상담사례

시아버지 실종, 며느리가 실종선고 청구할 수 있을까요?

시아버지의 실종선고로 상속 지분에 영향을 받는 며느리는 이해관계인으로 인정되어 실종선고를 청구할 수 있다.

#실종선고#며느리#청구#이해관계인

상담사례

깜짝 놀랄 일! 실종된 아버지가 돌아오셨다면? 상속받은 재산은 어떻게 될까요?

실종 선고 후 상속받은 재산은 실종자가 돌아오면 상속이 취소되며, 선의의 상속인은 현재 남은 재산만, 악의의 상속인은 모든 재산과 이익, 이자, 손해배상까지 반환해야 한다.

#실종선고#상속재산#반환#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