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2.24

민사판례

약속어음 소지와 상환에 관한 이야기

오늘은 약속어음과 관련된 법원 판결 이야기를 쉽게 풀어드리려고 합니다. 어음 문제로 복잡한 상황에 놓이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사건의 개요

A 금고는 B 회사가 발행한 약속어음에 대한 돈을 받지 못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B 회사는 C에게 회사 주식을 넘기면서 A 금고에 진 빚 중 일부를 갚기로 약속하고 약속어음을 발행했는데, C가 이 어음을 추심을 위해 A 금고에 넘긴 상황이었습니다. B 회사는 A 금고 직원들의 잘못으로 돈을 제대로 못 받았고, C도 돈 받는 노력을 게을리 했다고 주장하며 돈을 갚을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 금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어음 소지의 입증

A 금고는 재판에서 약속어음을 제출했고, B 회사도 어음이 진짜라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법원은 이것만으로도 A 금고가 어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충분히 증명되었다고 보았습니다. 다른 재판에서 이 어음이 증거로 사용되었다고 해서 A 금고가 어음을 잃어버렸다고 볼 수는 없다고 했습니다. (어음법 제38조, 민사소송법 제187조 참조)

2. 어음의 상환증권성

B 회사는 어음으로 돈을 갚으면 나중에 또 돈을 갚으라고 할 수도 있다고 걱정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어음은 돈을 갚았다는 증거가 되기 때문에, 한 번 돈을 갚으면 나중에 또 돈을 갚으라고 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강제로 돈을 받아내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어음법 제39조 참조)

3. 채권 회수 노력

B 회사는 C가 돈을 받아내는 노력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B 회사가 그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A 금고 직원들이 잘못해서 돈을 못 받았다는 주장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떤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그 권리 발생의 요건을 입증해야 합니다.

관련 판례

이 판결과 관련된 이전 대법원 판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법원 1991.4.9. 선고 91다2892 판결
  • 대법원 1976.4.27. 선고 75다739 판결

결론

이 판결은 약속어음 소지와 상환에 대한 중요한 법리를 보여줍니다. 재판에서 어음을 제출하고 상대방이 인정하면 어음 소지가 증명되며, 어음의 상환증권성 때문에 이중변제의 위험이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권리 주장자가 권리 발생 요건을 입증해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기로 발행된 약속어음, 그 책임은 누구에게?

다른 사람에게 속아서 위조된 어음의 담보로 약속어음을 발행한 사람이 그 약속어음의 효력을 없앨 수 있다는 판결. 어음을 할인해준 금융기관이 위조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약속어음 발행을 취소할 수 있다.

#위조어음#약속어음#발행취소#사기

민사판례

약속어음, 그 진실과 거짓

약속어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별도의 이익 증명 없이 어음금을 청구할 수 있으며, 어음 발행 원인이 없거나 채무가 갚아졌다는 것은 채무자가 입증해야 합니다. 만약 빚을 피하려고 거짓으로 약속어음을 만들었다면 그 어음은 무효이며, 이 거짓을 주장하는 사람이 입증해야 합니다.

#약속어음#소지인#권리행사#통정허위표시

민사판례

잃어버린 어음, 찾았다고 돈 달라고 할 수 있을까?

분실된 어음에 대해 법원이 제권판결을 내린 경우, 그 어음을 나중에 얻은 사람은 어음에 적힌 금액을 청구할 수 없다.

#분실어음#제권판결#어음금청구불가#공시최고

민사판례

약속어음 받았다고 돈 받은 걸로 확정?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돈을 빌려준 사람이 빌린 사람으로부터 돈 대신 약속어음을 받고 영수증까지 써줬다고 해서, 실제로 약속어음에 적힌 돈을 받기 전에 빚이 모두 갚아진 것으로 볼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약속어음#채무변제#영수증#변제공탁

민사판례

약속어음과 돌고 도는 인적 항변, 결국 부메랑처럼 돌아오다!

부도난 어음을 다른 사람에게 넘겼다가 다시 돌려받은 경우, 처음에 어음 발행인에게 주장할 수 있었던 사유(인적 항변)를 여전히 주장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은 "주장할 수 있다"입니다.

#부도어음#인적항변#기한후배서#환배서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받은 약속어음, 중간에 다른 사람 이름이 적혀있어도 괜찮을까?

정당한 소지인이 발행한 어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중간에 임의의 배서인을 넣어도 어음을 받은 사람은 정당한 권리를 갖습니다. 또한 융통어음이라도 제3자가 어음을 샀다면, 어음을 발행한 사람은 "돈 빌려주는 용도로 쓴 어음이라 갚을 필요 없다"는 주장을 할 수 없습니다.

#임의배서#어음양수인#융통어음#항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