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09.13

민사판례

어촌계 가입, 총회 결의 없이도 계원 지위 인정될 수 있을까?

어촌계 가입을 둘러싼 분쟁, 생각보다 자주 발생합니다. 오늘은 어촌계 가입과 관련된 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어촌계 가입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았더라도, 계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핵심은 '어촌계가 실제로 계원으로 대우했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들은 신평 어촌계에 가입하려 했지만, 정식 절차(가입신청서 제출, 총회 승인, 계원명부 기재)를 거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원고들은 어촌계가 자신들을 계원으로 대해왔다고 주장하며, 계원 지위 확인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원고들이 정식 가입 절차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어촌계 계원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원고들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어촌계가 원고들에게 계장 선거권, 총대 선거권, 총대회원 피선거권 등을 부여하고, 원고들이 실제로 총회에 참여하여 권리를 행사한 점을 근거로, 어촌계가 묵시적으로 원고들을 계원으로 받아들였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막대한 보상금이 걸린 개발 사업이 시작되자 어촌계가 갑자기 원고들의 계원 지위를 부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2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비법인사단인 어촌계의 계원이 되려면 원칙적으로 총회 결의가 필요하며, 예외적으로 총회 결의 없이 계원 지위를 인정하려면 어촌계가 실제로 계원으로 대우한 객관적인 사정이 있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은 2심 법원이 제시한 근거만으로는 어촌계가 원고들을 계원으로 대우했다고 보기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단순히 선거권 등을 부여한 것만으로는 계원 지위를 인정했다고 볼 수 없으며, 특히 어업권 배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심리가 미진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법원은 어촌계가 원고들에게 선거권 등을 부여한 구체적인 경위, 어업권 사용수익권 부여 여부, 출자의무나 노무제공의무 부담 여부 등을 추가로 심리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2심 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민법 제276조 제1항 (총유)

핵심 정리

  • 어촌계 가입은 원칙적으로 총회 결의를 거쳐야 합니다.
  • 총회 결의 없이 계원 지위를 인정받으려면 어촌계가 실제로 계원으로 대우했음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가 필요합니다.
  • 단순히 선거권 등을 부여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계원 지위를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이 판례는 어촌계 가입과 관련된 분쟁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어촌계 가입을 둘러싼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관련 법률 및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어촌계 보상금, 내 맘대로 받을 수 있을까?

어촌계 어업권 소멸에 따른 보상금은 어촌계 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분배 가능하며, 개별 계원이 직접 분배를 요구할 수 없다. 다만, 총회 결의에 절차적 하자나 내용상 불공정함이 있는 경우, 그 결의의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있다.

#어촌계#보상금 분배#총회 결의#개별청구 불가

민사판례

어촌계 총회 결의 무효 소송, 대법원 파기 환송!

어촌계 총회 결의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에서, 법원은 어촌계의 계원 수가 법에서 정한 최소 인원(20명)을 충족하는지, 총회 소집 절차가 적법했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심 법원이 이러한 부분을 제대로 심리하지 않아 대법원이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어촌계 총회#결의 무효#계원 수#소집 절차

민사판례

옛날 어촌계 계원이 새 어촌계 계원도 될까? 어촌계 가입 조건 알아보기

기존 어촌계가 해산하고 같은 지역에 새로운 어촌계가 만들어졌을 때, 기존 어촌계원이 자동으로 새 어촌계원이 되는 것은 아니며, 새 어촌계 가입은 정관에 따라 신청과 승낙 절차를 거쳐야 한다.

#어촌계#해산#신설#가입

민사판례

어촌계 보상금 분배, 내 맘대로 받을 수 있을까?

어촌계 어업권 상실에 따른 손실보상금은 어촌계 총회 결의를 통해서만 분배될 수 있으며, 그 결의가 현저히 불공정할 경우 무효가 된다. 개별 계원은 총회 결의 없이 직접 보상금을 청구할 수 없다.

#어촌계#어업권#손실보상금#분배

민사판례

어촌계 보상금 분배 결정, 뒤늦게 문제 삼을 수 있을까?

적법하지 않은 절차로 진행된 어촌계 총회의 결의를 나중에 적법한 총회에서 다시 추인한 경우, 처음 결의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송은 소송의 실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어촌계#손실보상금#총회결의#무효확인소송

민사판례

어촌계 보상금 분배, 공정해야 효력 인정!

어촌계 어업권이 소멸되어 보상금을 받게 되었을 때, 그 보상금은 어업권을 실제로 행사한 사람에게만 주는 것이 아니라 모든 어촌계원에게 공평하게 분배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 어촌계 내부의 특별한 사정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촌계#어업권 소멸#보상금#공평 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