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엘피파워(LP-POWER)라는 제품을 둘러싼 법정 공방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석유사업법 위반과 소방법 위반으로 기소된 피고인이 대법원까지 상고했지만, 결국 상고가 기각된 사례입니다. 꽤 복잡한 내용이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쟁점 1: 엘피파워는 유사 석유제품인가?
피고인은 엘피파워가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정한 첨가제 기준에 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았으니, 유사 석유제품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쟁점 2: 피고인은 법을 몰랐다?
피고인은 엘피파워가 유사 석유제품인지 몰랐다고 주장하며, 형법 제16조(법률의 착오)를 근거로 무죄를 주장했습니다. 형법 제16조는 자기 행위가 죄가 아니라고 잘못 알았더라도, 그럴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처벌하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단순히 법을 몰랐다는 것만으로는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죠. 엘피파워가 유사 석유제품인지 몰랐다는 것은 법률의 부지에 불과하며, 죄를 짓겠다는 의도(고의)가 없었다거나 위법성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대법원 2004. 2. 12. 선고 2003도6282 판결 등 참조)
쟁점 3: 소방법 위반은 억울하다?
피고인은 위험물취급소 설치 허가를 받지 않고 엘피파워를 취급한 혐의(소방법 위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은 허가를 신청했지만 거부당했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설령 허가 신청이 거부되었다 하더라도, 허가 없이 위험물을 취급한 것은 소방법 위반이라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결론
대법원은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고, 석유사업법 위반과 소방법 위반 모두 유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이 판결은 대기환경보전법 규정을 준수했다고 해서 석유사업법 위반이 아니라고 볼 수 없다는 점, 그리고 단순한 법률의 부지는 형법상 면책 사유가 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 사례입니다.
형사판례
정부 기준에 맞는 첨가제를 썼더라도 품질이 낮은 유사 휘발유를 만들어 자동차 연료로 팔면 불법입니다. 관련 법 위반으로 기소된 피고인들의 상고가 기각되어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형사판례
같은 의도로 일정 기간 동안 유사 석유제품을 반복 판매한 경우, 이는 하나의 죄로 취급(포괄일죄)되며, 이 중 일부에 대해 이미 판결이 확정되었다면 그 이전의 판매 행위까지 모두 판결의 효력이 미친다는 판례입니다. 즉, 이전 판결 이후에 다시 처벌받지 않습니다.
일반행정판례
주유소에서 유사 휘발유가 판매된 경우, 주유소 사장은 자신이 몰랐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며, 단순히 송유관 문제 가능성만으로는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
세무판례
유사 휘발유 판매에 대한 세금 부과 판결 이후, 같은 판매 행위에 대한 허가취소 처분이 취소되었다고 해서, 처분 취소가 세금 부과 판결에 대한 재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수질환경보전법 시행 전후에 걸쳐 발생한 수질오염 행위에 대해 새로운 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수질환경보전법의 처벌 조항이 명확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새로운 법 적용이 가능하며, 처벌 조항도 명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계획관리지역에서 특정대기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공장 설치를 금지하는 법령이 직업수행의 자유와 재산권을 침해하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으며, 대법원은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