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혼자 저지르는 것보다 더 위험하고 피해가 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법은 이런 경우를 어떻게 다룰까요? 이번 글에서는 공동 범행에 대한 가중처벌 규정의 합헌성 여부를 다룬 판례를 소개합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의 피고인은 여러 명과 함께 범죄를 저질렀고, 이에 따라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항에 따라 가중처벌을 받았습니다. 피고인은 이 가중처벌 규정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주장하며 상고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항 중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른 경우 형법에서 정한 형의 2분의 1까지 가중하도록 하는 규정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히, 이 규정이 헌법상 평등의 원칙, 비례의 원칙 등에 위배되는지가 문제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상고를 기각하며 가중처벌 규정이 합헌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법원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가중처벌하는 규정이 합헌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공동 범행의 위험성을 고려한 입법자의 재량 범위 내에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이를 통해 법은 공동 범행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형사판례
여럿이서 폭력을 행사하거나 위험한 물건을 가지고 공무집행을 방해하여 상해를 입힌 경우 3년 이상의 징역형을 규정한 법률 조항이 과도하게 가혹하여 위헌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헌법재판소는 합헌 결정을 내렸습니다.
형사판례
특정 범죄를 저지르고 3번 이상 징역형을 받은 사람이 같은 범죄를 다시 저지르면, 상습범이 아니더라도 상습범처럼 더 무겁게 처벌하는 법 조항(특정범죄가중처벌법 제5조의4 제5항)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 단순히 범행을 공모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공동 폭행'으로 가중처벌할 수 없고, 실제로 함께 폭력을 행사했거나 폭력 현장에 있었어야 합니다. 또한, '공동 폭행'으로 기소되었더라도 단순 폭행 혐의가 포함되어 있다면, 법원은 별도의 절차 없이 단순 폭행 혐의에 대해서도 판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경매방해죄는 누가 경매에 참여하려 했는지 정확히 특정하지 못하더라도, 실제로 방해 행위가 있었다면 성립합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범죄를 저지를 때, 사전에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았더라도 서로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함께 범행했다면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기로 마음을 먹은 경우(공모), 직접 피해자를 살해하지 않았더라도 살해 행위에 가담했다면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강간을 모의하고, 시간적·장소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각자 다른 피해자를 상대로 강간을 저행했다면, 비록 직접 폭행이나 협박에 가담하지 않았더라도 '특수강간'의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