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외국인 사망 사건, 국가배상 위자료는 어떻게 계산될까? - 고국 소득수준 고려 여부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보호 중이던 외국인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국가의 잘못으로 인한 사망이라면 유족에게 배상을 해야 할 텐데, 위자료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특히 외국인의 경우, 고국의 소득수준이나 경제수준이 위자료 산정에 영향을 미칠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강제퇴거 대상인 외국인 乙은 출입국관리사무소에 보호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출입국관리사무소장 甲은 乙에 대한 별도의 고소사건 수사를 위해 강제퇴거 명령 집행에 통상 소요되는 기간을 넘어 乙을 사실상 구금 상태로 유지했습니다. 그러던 중 乙은 사망에 이르렀습니다. 이 경우 乙의 유족에게 국가가 배상해야 할 위자료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특히 乙의 고국 소득수준이나 경제수준을 고려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관련 법률 및 판례

먼저 출입국관리법 제63조(보호)는 강제퇴거 명령을 받은 사람의 보호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송환할 수 있을 때까지 보호시설에 보호할 수 있지만, 그 기간이 3개월을 넘는 경우 3개월마다 법무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판례는 출입국관리법 제63조 제1항의 보호명령은 강제퇴거명령 집행 확보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발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다른 고소사건 수사를 위해 퇴거명령 집행을 보류하고 보호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위법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외국인에 대한 위자료 산정 시 고국 소득수준이나 경제수준 참작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례 (대법원 2001. 10. 26. 선고 99다68829 판결)가 있습니다. 이 판례에 따르면, 외국인 피해자가 사고가 아니었더라면 고국으로 돌아갈 예정이었거나, 유족이 외국에 거주하는 경우, 위자료 산정 시 피해자의 고국 소득수준이나 경제수준을 참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참작 정도는 반드시 소득수준이나 경제수준 차이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불법행위 유형을 감안하여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결론

위 사례에서 乙의 사망에 대한 위자료 산정 시 乙의 고국 소득수준이나 경제수준을 참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그 차이에 비례하여 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불법행위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참작 정도를 결정할 것입니다. 즉, 단순히 乙의 고국 소득수준이 낮다고 해서 위자료가 적게 산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외국인 보호와 위자료 산정에 대한 법원의 판단

출입국관리법 위반으로 강제퇴거명령을 받은 외국인을 다른 사건 수사를 위해 송환하지 않고 보호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위법하며, 외국인에게 위자료를 산정할 때는 그 외국인의 고국에서의 소득수준이나 경제수준을 참작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 차이에 비례할 필요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강제퇴거명령#보호기간 연장#위법#외국인

민사판례

항공기 사고 위자료, 어떻게 계산될까요?

항공기 사고로 인한 위자료는 자동차 사고 등 일반적인 사고와는 다른 기준으로 산정해야 하며, 사고의 특수한 사정을 고려해야 한다.

#항공기 사고#위자료#산정기준#특수성

민사판례

비행기 사고로 가족을 잃었을 때, 위자료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항공기 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에서, 법원은 단순 교통사고와는 달리 항공기 사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위자료를 산정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하급심이 이러한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위자료를 산정한 것을 잘못으로 판단하여 파기 환송한 사례입니다.

#항공기 사고#위자료#특수성#참작사유

민사판례

비행기 사고로 가족 잃은 유족, 위자료 더 받을 수 있을까?

항공기 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에서, 법원은 일실수입(사고로 잃어버린 장래소득) 산정 방식을 인정하고, 항공기 사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위자료를 더 높게 산정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항공기 사고#위자료#일실수입#손해배상

민사판례

국가의 불법행위와 위자료, 그리고 소멸시효에 대한 이야기

국가가 기지촌에서 성매매를 정당화·조장하고, 성병 관리를 명목으로 여성들을 강제 격리 수용한 행위에 대해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한 판결. 위자료 산정 기준시점 및 과거사 관련 소멸시효에 대한 법리도 다룸.

#기지촌#성매매#국가배상#강제격리

민사판례

국가의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어떻게 계산할까?

장기간 이어진 소송에서 위자료 계산과 형사보상금 공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시간이 오래 걸린 소송에서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하여 위자료와 지연이자를 어떻게 계산하고, 이미 받은 형사보상금을 어떻게 공제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불법행위#손해배상#위자료#지연이자